본문 바로가기
수업혁신

교과교실제와 블럭타임제의 교수전략

by 김현섭 2013. 7. 16.

 

 

1. 교과교실제란?

  교과교실제란 기존 중고등학교에서 일반 교실+특별 교실위주로 교사가 이동하여 수업하던 방식에서 교과목 특성에 맞게 특성화된 교실로 학생들이 이동하며 수업을 듣는 방식을 의미한다. , 대학교 운영 방식처럼 학생들이 해당 교실에 가서 수업을 받는 방식이다.

그런데 교과교실제는 일반 교실을 다양한 교과의 특성에 맞추어 교실을 리모델링하는 하드웨어적 측면만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니다. 교과교실제의 핵심은 학생 선택 중심의 탄력적 교육과정 운영(소프트웨어)을 위한 수단으로서 교과교실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탄력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최첨단 교과교실을 만든다 해도 교사들이 의식 변화와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성공하기 힘들기 때문에 인적 차원(휴먼웨어)의 노력이 필요하다.

교과교실제는 학생들이 이동하면서 해당 과목 수업을 듣는 수업 제도라고 하면 전교과교실제는 일부 과목이 아니라 모든 교과목을 교과교실로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교과교실제에서 지향하는 것은 교과목의 특성을 드러내고 수업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자는 것이다.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교과교실제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우리도 행정 업무를 줄이고 수업 전문성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 학생 중심의 탄력적 교육과정 (Software)

 

교과교실제의 핵심은 탄력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하드웨어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탄력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교육과정 운영을 다양화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며 기초 학력을 보장하고 수월성 교육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교육과정 운영의 다양화

학생의 자율적 선택 과목 확대

-다양하고 특화된 선택 과목 개설로 학생의 진로 선택 기회 확대

-2, 3(선택과목)에서 특화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선택 과목 다양화, 교과목 신설 편성 및 이수 단위 증감 운영

국민 공통 기본 교과 및 선택 과목 수업 시수의 다양화

-연간 총 수업 시수 내에서 교과목()별로 최소-최대 시수 범위 내에서 학사 운영 시도

집중 이수제 추진 및 수업 시간 운영의 자율화

-교과 집중 이수를 통한 학습 부담 경감 및 심도있는 학습 추구

-2시간 연속 수업 및 90-100분 수업 등 시간 운영의 자율적 운영

-주당 집중 이수, 월별 집중 이수, 학기 집중 이수, 학년 집중 이수 등을 통한 학기당 최소 과목 이수 등의 자율적 운영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

학생 능력에 부합하는 특화된 수준별 수업 프로그램 개발

-수준별 교과 이동 수업 확대로 학생별 교과 이수 과목의 다양화

-탐구, 협동학습, 개별화 수업 등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의 개발

창의성 함양 수업 극대화

-과학, 수학, 영어의 수준별 선택 확대로 과목 특성별 교과교실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업의 흥미도를 높이고 창의성 함양 구현

학교 밖 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교육 활동의 다양화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한 방과후 학습 프로그램 등 개발

-중고등학교 간 연계, 대학사회교육기관의 연계, 지역교육센터 활용, 온라인 교육 활동 등

 

기초 학력 보장 및 수월성 교육 강화 노력

기초 학력 신장을 위한 개별 지도 혹은 수준별 지도 방법 운영

-기초반, 심화반 등을 교과별 및 수준별로 구분하여 운영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 등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

-소인수 수준별 수업 및 팀티칭 수업 방법을 통한 기초 학력 신장

특별 활동, 체험 활동, 방과후 활동 등 학교 재량으로 다양하게 운영

-방과후 교육과 연계한 학력 신장 방안 마련 후 추진

 

. 교과교실 구축 및 운영 (Hardware)

 

교과목 특성을 반영한 교과교실의 구축

-교과목 특성에 맞는 공간 구성 및 다양한 학습 공간 마련

학생교사 등 이용자의 행태와 행동 영역을 고려한 가구 배치

자연 채광 효과를 충분히 얻어야 하며 교실 내부의 이용자의 심리를 고려한 색채를 사용

-교과교실의 계획 설계 및 운영시 교과별 교실 수와 크기, 학생들의 이동량의 최소화, 적절한 인원 분산을 위한 공간 배치 등을 고려

교과교실의 운영

-각 교사별로 교과전용 교실을 배정하여 학생들이 교과교실을 찾아 이동하는 방식 (미국 중등학교 사례)

-각 교실 학습 및 작업 공간 개념의 교사 연구 공간, 교과자료 및 기자재 비치 공간 등이 필요

-교과목별 특성에 맞추어 교과 블록(학습 거점 영역)을 설정하여 그 블록 내에 교사 연구실, 교육자료 센터, 오픈 스페이스 등을 구성

-매 시간 수업 준비를 위한 별도의 홈베이스, 학생 휴게실, 자율학습실, 탈의실, 사물함 등 학생 친화형 공간 마련

 

< 교과교실의 구성 () >

TV,실물화상기

 

칠판, 스크린

 

이동칠판,OHP

 

 

 

 

 

 

 

 

 

 

 

 

 

 

 

 

 

 

 

 

교사 연구 공간

 

다목적 학습공간

 

 

 

 

 

 

 

 

 

 

 

 

 

 

다목적

학습공간

 

 

 

 

 

 

 

 

 

 

 

 

 

 

 

 

 

 

 

 

 

 

 

 

 

 

 

 

 

 

 

 

 

 

 

 

작업공간

 

학습 공간

 

 

 

 

 

 

 

 

 

 

 

 

 

 

 

 

 

 

 

 

 

 

 

 

 

 

 

학습활동 전시 공간

 

. 교원 및 행정 인력 적극 지원 (Humanware)

교육과정 다양화, 전문화에 따른 교원 확보

-다양한 교과운영을 위한 교사 요원(기간제 강사, 보조 교사 등)을 확보하고, 교원 연수우수사례 공유를 통한 교수 역량 강화

행정 보조 인력 지원

-교원의 행정 업무 경감, 연구 및 수업 내실화를 위한 학교 인턴, 공익 근무 요원 등 행정 보조 인력 추가 배치

교원 연수 및 교재 개발비 지원

-단위 학교 자체 교원 연수 등을 위하여 예산 지원

 

 

 

2. 블록타임제에 맞는 수업 전략

 

. 블록 타임제 수업의 장단점

 

블록 타임제란 기존 수업을 2차시를 하나의 블록 형태로 만들어 연속 수업을 하는 방식이다. 교과교실제를 실시하는 외국 선진 학교들을 살펴보면 블록타임을 70-100분 정도 진행하고 블록과 블록 사이에도 쉬는 시간이 없다. 적당히 이동하는 시간이 존재하고 1블록과 2블록 사이 브레이크 타임(20-30)이 존재한다. 우리 나라에서도 교과교실제가 도입되면서 블록 타임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블록 타임제가 가지고 있는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블록타임제의 장점은 첫째, 학생 중심, 활동 중심 수업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문제해결(PBL) 모형, 협동학습,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 활동을 강조하는 수업이기에 기존 1차시 수업에서 풀어내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 그런데 블록타임제를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면 학습의 몰입도를 올릴 수 있다.

둘째, 교과교실제의 단점을 블록타임제가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과교실제는 학급 중심제와는 달리 학생들이 교과교실을 이동하면서 수업을 받기 때문에 기존 시간표대로 운영하는 경우, 학생들의 육체적인 피로도가 높아진다. 공간이 주는 안정감을 누리기 어렵다. 그런데 블록 타임제를 활용하면 학생들의 이동 횟수가 줄어들 수 있다.

셋째, 기존 수업에 비해 교사 입장에서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다. 2차시 수업을 준비하는 것과 1블록 타임 수업을 준비하는 것을 비교해 볼 때 교사 입장에서는 수업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다. 1차시 수업에 비해 1블록 수업 준비 시간이 더 소요되지만 2차시 수업에 비해서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블록 타임제의 단점은 기존 강의식 수업에서는 최악의 수업이 될 수 있다. 2시간을 연속하여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정부 차원에서 블록 타임제를 강조하는 것은 교과교실제 운영을 위한 목적도 있지만 블록 타임제를 통해 교사의 수업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조치로도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블록 타임제 수업이 기존 수업의 관점에서 볼 때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1시간 + 1시간이면 2시간이지만 블록 타임제를 실시하면 수업진도적인 측면에서는 1시간반 정도 분량의 진도를 나가는 경우가 생긴다. 학생 활동 중심, 경험 중심 수업은 기존 교사 중심, 지식 중심 수업에 비해 지식의 분량을 많이 다루기 힘들기 때문이다.

셋째, 블록타임제 수업을 시간표상 구성하기 쉽지 않다. 전체 수업을 블록타임으로 구성하면 수업 시간표를 구성하기가 기존 방식에 비해 쉽지만 기존 수업 시간표와 혼합하여 블록타임제를 구성하는 경우, 시간표 구성이 쉽지 않다. 또한 시간표를 변경하려고 하는 경우, 다른 수업(시간, 교사, 공간 등)과 충돌되기 쉽기 때문에 매우 힘들어진다.

그러므로 학생 중심, 경험 중심 수업을 준비할 때는 블록 타임제 수업이 유리하지만 교사 중심, 지식 중심 수업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 특히 수능 중심의 대입 문제에 집중해야 하는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 수업에서는 강의식 수업, 문제 풀이식 수업에 익숙한 수업 문화 속에서 학생 중심, 경험 중심 수업에 적합한 블록 타임제 수업이 부담이 될 수 없다.

 

. 블록 타임제에 맞는 수업 전략

 

블록 타임제의 특성에 맞추어 수업을 디자인할 때는 강의식 수업 등의 직접적 교수전략보다는 학생 참여적 교수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학생 참여적 교수전략에는 협동학습, 문제해결(PBL) 수업 모형, 구조화된 프로젝트 수업, 실천적 교수전략 등이 있다.

기존 강의식 수업과 문제 풀이식 수업을 하려고 한다면 기존 시간표 방식대로 운영하려고 하면 힘들기 때문에 블록 타임제에 맞게 수업 디자인을 해야 한다. 교과별 특성, 시간별 특성, 학생들의 특성 등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수업을 디자인해야만 블록 타임제를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