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혁신

프로젝트 수업

by 김현섭 2012. 1. 26.

가. 프로젝트 수업의 이해

프로젝트 수업이란 교사의 의해 주어진 학습 목표에 따라 학습 단원 내용을 학습하는 형태가 아니라 학생들 스스로가 문제 의식을 가지고 주제를 선정하는 단계에부터 조사나 연구, 발표 및 평가에 이르기까지 학습의 전 과정에 걸쳐 학생들 스스로가 참여하는 수업 모형이다. 객관론적인 인식론에 근거하여 교사가 주도하는 수업이 아니라 주관론적 인식론에 근거하여 학생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자기주도적 학습 형태이라는 것이다. 기존 수업 모형에 비해 교사는 안내자로서 학생들과의 활발한 피드백을 통하여 학생들이 의미있는 학습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프로젝트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토픽(Topic)과 테마(Theme)의 차이를 잘 알아야 한다. 토픽(Topic)이란 연구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사실이라면 테마(Theme)는 토픽이 전제되고 있는 추상적인 아이디어로서 사물들을 연결하는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개념을 의미한다. 예컨대, 토픽이 해외에서 한국을 빛낸 사람들이라면, 테마는 민족애라고 볼 수 있다.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할 때, 어떤 토픽을 선정하여 연구하지만 그 토픽은 테마를 벗어나서는 안될 것이다. 프로젝트 수업의 성공 여부는 교사가 얼마나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이끌어내느냐에 달려있다. 사실 학생들 스스로 주제를 선정하고 연구, 실행하도록 이끌어 나가는 과정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하지만 프로젝트 수업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었을때, 힘든 만큼의 보람있는 성과를 얻어낼 수 있는 수업 모형이기도 하다.

프로젝트 수업은 범교과적 접근을 가능하게 해준다. 특히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프로젝트 수업의 경우, 언어적 지능과 논리수학적 지능 이외에 공간적 지능, 음악적 지능, 신체감각적 지능, 대인 지능, 자성 지능, 자연 이해 지능 등 다양한 지능 영역을 활용하기 때문에 기존 교과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범교과 통합적인 접근을 할 수 있다.

프로젝트 수업은 참여자 단위에 따라 개별 프로젝트 수업과 협동 프로젝트 수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협동 모둠 중심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협동 프로젝트 수업은 얼핏 보면 기존의 조별 발표식 수업 방법과 유사하다. 모둠별로 과제를 선정하여 연구하고 그 결과물을 발표한다는 기본 흐름은 같다. 하지만 학습에 대한 이해와 접근 방식이 매우 다르다. 기존 조별 발표식 수업은 과제 선정에서부터 발표 및 평가에 이르기까지 교사 주도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프로젝트 수업은 연구 활동의 주체가 교사가 아니라 학생이다. 즉, 과제 선정에서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학습의 전 과정에서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운영한다는 것이다. 프로젝트 수업에서 교사는 매니저와 같은 역할을 한다. 학생들이 자신이 선택한 학습 과제를 성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 지원하는 역할을 주로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참여를 전제로 진행되는 수업이다.

 

나. 협동 모둠 프로젝트 수업 모형의 일반적인 단계

 

단계

활동 내용

주제 선정

▪교사가 학생들을 이질적인 모둠으로 구성한다.

▪모둠 세우기 활동을 통하여 학생 상호간의 신뢰를 쌓아갈 수 있도록 한다.

▪교사가 주제를 제시한다.

▪학생들이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마인드맵(mind map)으로 주제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을 정리한다.

▪주제에 대한 질문 목록(체크리스트)을 만든다.

▪주제에 대한 핵심 질문을 만든다.

모둠 과제 조사

▪모둠원 각자가 영역을 나누어 관련 자료를 찾는다.

▪각자가 찾아온 1차 자료를 가지고 토의한다.

▪자료를 토대로 보고서에 대한 기본 골격을 만든다.

▪기본 골격에 따른 세부적인 자료를 보완하여 가지고 온다.

▪과제에 따라 단순한 조사 수준에서 벗어나 사회 참여 실천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시켜 실행한다.

모둠 과제 발표

▪모둠별로 과제물을 완성하여 보고서로 만든다.

▪모둠별로 과제를 프리젠테이션, 역할극, 토크쇼 등 다양한 형식으로 학급 전체에 발표한다.

평가

▪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 대한 자료와 결과물을 포트폴리오 형태로 정리하여 제출한다.

▪ 동료 평가 방식 등 다면적 평가를 통하여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수행 평가시 수행평가 기준표(루브릭)를 통하여 평가할 뿐 아니라 피드백 자료로 활용한다.

 

 

다. 차시별 세부 운영 계획 사례

차시

단계

활동 내용

1

모둠 구성 및 모둠 세우기 활동

▪교사가 학생들을 이질적인 모둠으로 구성한다.

▪모둠 세우기 활동을 통하여 학생 상호간의 신뢰를 쌓아갈 수 있도록 한다.

 

2

대주제 설명 및 소주제 선정

▪교사가 대주제(테마)를 제시하고 배경 설명을 한다. 이때 동기 유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이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마인드맵(mind map)으로 대주제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을 정리한다.

▪주제에 대한 질문 목록(체크리스트)을 만든다.

▪주제에 대한 핵심 질문을 만든다.

▪질문 리스트를 발표하고 이를 정리하여 소주제를 열거한다.

▪모둠별로 자기 모둠에서 연구할 탐구 소주제(토픽)를 선정한다.

3

1차 자료 수집 및 검토

▪모둠원 각자가 영역을 나누어 관련 자료를 찾아 온다.

▪각자가 찾아온 1차 자료를 가지고 토의한다.

▪자료를 토대로 소주제(토픽)를 확정하고 보고서에 대한 기본 골격을 만든다.

▪교사에게 소주제와 기본 계획서를 받는다.

4

2차 자료 수집 및 검토

▪기본 골격에 따른 세부적인 자료를 보완하여 가지고 온다.

▪과제에 따라 단순한 조사 수준에서 벗어나 사회 참여 실천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시켜 실행한다.

▪세부적인 과제를 역할별로 나누어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보고서 초안을 만든다.

5

보고서 작성

및 과제 수행

▪보고서를 만들어 교사에게 피드백받는다.

▪보고서 내용이 부실한 경우, 다음 시간까지 보완하도록 한다.

▪보고서가 통과되면 발표 방식에 대하여 논의한다.

▪프리젠테이션 구성, 발표자, ucc 촬영 계획에 대하여 논의한다.

▪ucc의 경우, 스토리보드를 만들고 교사에게 피드백받는다.

6-8

평가

모둠 과제 발표

▪모둠별로 과제를 프리젠테이션, 역할극, 토크쇼 등 다양한 형식으로 학급 전체에 발표한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 대한 자료와 결과물을 포트폴리오 형태로 정리하여 제출한다.

▪ 발표가 마치면 곧바로 평가한다. 다면평가 방식을 도입하여 평가한다.

▪수행 평가시 수행평가 기준표(루브릭)를 통하여 평가에 활용한다.

라. 유의 사항

첫째, 교사와 학생들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되어져야 한다. 프로젝트 수업의 성공 여부는 교사가 학생 활동을 어느 정도 피드백을 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프로젝트 수업을 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교사가 각 모둠에게 필요한 부분을 적절하게 피드백하는 일이다. 교사가 학생들이 자기에게 주어진 과제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잘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수업을 진행하는데 시간이 많이 필요하므로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프로젝트 활동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미리 확보해야 한다.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최소한 4-5차시 이상이다. 교육과정 재구성 작업을 통하여 과감하게 기존 교육내용을 줄이고 단원별 핵심 질문을 중심으로 요약하여 수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진도 문제로 인하여 프로젝트 수업에 많은 차질을 빚게 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즉, 교사가 학생들에게 정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질문을 통하여 스스로 답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칫 프로젝트 수업에서 교사가 범하기 쉬운 실수는 학생들의 문제나 고민에 대하여 너무 쉽게 정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학생들은 교사에게 의존하게 되고, 다른 사람들의 도움으로만 과제를 쉽게 해결하려고 한다.

넷째, 프로젝트 수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려면 프로젝트 수업에 따른 평가 방안이 잘 뒷받침되어야 한다. 프로젝트 수업에 알맞은 평가 방식은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이다. 포트폴리오 평가에 맞는 알맞은 수행 평가 루브릭(채점기준표)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이 좋다. 프로젝트 수업에 따른 정교한 루브릭(채점기준표)이 없으면 수업은 산만해지거나 망치기 쉽다. 이때, 개인적인 책임을 강화하여 개인 평가와 모둠 평가가 잘 조화될 수 있어야 한다.

 

참고도서

보리크, “효과적인 교수법”,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 2002

파커 파머, “가르칠 수 있는 용기”, 한문화, 2000

정문성,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개정판)”, 교육과학사, 2006

이혁규,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우리교육, 2008

암스트롱, “복합지능과 교육”, 중앙적성출판사, 1999

지옥경 역, 『프로젝트 접근법』, 창지사, 1995

김현섭 외, 『신나는 도덕수업1, 2』, 한국협동학습센터, 2011

김경태, “스티브잡스의 프레젠테이션”, 멘토르,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