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5/128

내 수업 질문이 좋은 질문인지 스스로 확인하려면? 내 수업 질문이 좋은 질문인지 스스로 점검하려면?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 단행본 출간 이후 관련 연수 등을 통해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많은 선생님들이 하는 질문이 “어떻게 질문해야 좋은 질문을 할 수 있는가?”이다. 좋은 질문을 만드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비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좋은 질문에 대한 감각을 기르고 질문 역량을 기르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물론 좋은 질문에 대한 몇 가지 원칙이 있다. 즉, 짧고 단순한 질문, 확인 질문, 반복 질문, 연속 질문, 요약 질문이 좋다는 것이다. ▪ 짧고 단순한 질문 사례 -“논설문과 설명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등▪ 확인 질문 사례-“이 그림을 네가 직접 그렸니?” 등▪ 반복 질문 사례-“자신의 주장을 설득하기 위한 글을 무엇이.. 2015. 12. 23.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 “선생님, 우리 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재구성 연수를 해주세요.”최근 경기도 외곽에 있는 한 초등학교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2시간 동안 열심히 달려 학교에 갔는데, 막상 가보니 교사 7명 수준의 작은 초등학교였다. 연수를 시작하려는 데 교사들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았다. 본격적으로 연수를 하기 전에 이 분위기를 눈치채고 그 이유에 대하여 물어보았다.“우리 학교 교장 선생님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하라고 압력을 주세요. 특히 외부 출장을 다녀올 때마다 인근 학교들의 교육과정 자료집을 챙겨 오셔서 우리 학교도 이보다 더 좋은 교육과정 자료집을 만들어보라고 하세요. 그런데 정작 새로운 무엇인가를 하려면 지원보다는 통제를 많이 하세요.”“이 연수는 교사들이 받아야 할 연수가 아니라 교장 선생님이 받아야 할 .. 2015. 12. 23.
교사들이 쉽게 저지르는 질문의 5가지 실수들 1. 자문자답하기 교사 : “지난 시간에 배운 공리주의에 대하여 생각하는 대로 이야기해볼 수 있을까요?”학생 : “.....”교사 : “공리주의하면 잊지 말아야할 유명한 문구가 있죠?”학생 : “.....”교사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공리주의는 사회적 쾌락을 강조했어요. 그리고 동기보다 결과를 중시하여 선악의 기준점을 삼았다는 것이겠죠. 오늘은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설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죠.” 교사가 질문하고 교사가 정답을 말하는 것을 좋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아무도 없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교사가 자문자답하는 것은 학생들이 교사가 원하는 정답을 말하지 않거나 아무런 반응이 없는 경우가 많다. 어색한 침묵을 깨기 위해서 교사가 질문의 대답을 말한다. 최악의 질문 방식이 자문자답인 이유는 응답반사를.. 2015. 12. 21.
수업 성장 연수 안내(티스쿨) 티스쿨 자율연수 교사는 어떻게 수업 성장하는가? 교사라면 누구나 수업을 잘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교사가 최선을 다해 가르쳐도 배움이 늘 잘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교사가 수업 성장을 꿈꾸지만 오히려 실패와 좌절을 경험할 때가 많습니다. 수업 성장을 위해 어떠한 노력이 구체적으로 필요한지 함께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교사의 내면, 학생의 배움, 관계와 질서, 수업디자인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일시 2015.1.20(수) - 22(금) 9:00-18:00 2. 장소 비상교육 비전룸(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 부근) 서울시 구로구 구로3동 170-10 대륭포스트타워 7차 20층 비상교육 비전룸 [찾아오시는 방법] - 지하철 2호선구로디지털단지역 2번 출구: 마을버스 .. 2015. 12. 7.
풀무학교 탐방기 지난 수능일, 소명학교 선생님들과 함께 풀무학교를 방문하여 학교 이야기를 나누었다. 몇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풀무학교의 이야기를 정리해보았다. (소명학교 정승민 샘 정리) 풀무학교의 학교철학, 더불어서 사는 한 사람을 키워내는 것우선 1958년의 4월 23일 개교한 풀무학교가 지금까지 견뎌 온 세월의 무게감이 느껴졌다. 격랑의 한국현대사의 지난 세월을 모두 겪은 학교이기 때문이다. 풀무학교가 내다본 통찰과 안목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57년의 역사는 그냥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여기에서부터 풀무학교에 대한 관심이 싹텄다. 풀무학교의 노력은 우리 교육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풀무학교의 교육목표는 ‘더불어서 사는 평민’, ‘위대한 평민’이다. 한 사람 한사람의 깬 평민이 중요하며, 남.. 2015. 12. 2.
비합리적인 10가지 수업 신념들 1. 수업 시간에 교사가 모든 학생들을 만족시킬 수는 없다?강의식 설명법 수업에 익숙한 평범한 교사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신념이다. 이러한 수업 방식에 익숙한 교사들의 수업을 참관하여 학생의 배움 상태를 관찰해보면 대개 상위권 학생들은 교사의 가르침에 잘 따르지만, 중위권 학생들은 가만히 있고, 하위권 학생들은 졸거나 딴 짓을 한다. 교사의 의도대로 잘 따라 오는 학생은 1/3 정도에 불과하다. 이러한 경우, 교사도 중하위권 학생들에게 나름대로 동기 부여를 하거나 야단치기도 하지만 배움의 상태가 크게 바꾸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경험이 쌓이게 되면 이러한 상황을 정당화하기 위한 신념이 생기게 된다. 즉, 교사로서 최선을 다해서 가르쳤지만 그 지식을 소화하지 못하는 것은 전적으로 학생들의 책임으로 생각하는 .. 2015. 12. 1.
나의 교육철학과 신념은? 교육 철학과 신념이란 무엇인가? 철학이란 지식과 지혜를 사랑한다는 뜻으로 인간, 사회, 자연, 만물에 대한 지식을 연구하는 것이다. 철학은 어떤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포함한다. 인생관, 가치관, 세계관 등도 철학의 범주 안에 들어있는 부분이다. 철학의 핵심은 ‘왜?’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행동은 철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철학없는 행동은 맹목이고 행동없는 철학은 사변에 불과하다. 신념은 철학의 바탕이 되는 핵심 믿음을 말한다. 교육적 사유도 교육적 신념의 바탕 위에서 일어난다. 그러므로 신념과 철학을 구분하기 힘들다. 사람이면 누구나 신념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데, 신념은 가장 기본이 되는 생각의 바탕이다. 교육적 신념은 교육에 대한 핵심 믿음을 말한다. 교육, 수업, 교사, 학생, 지식 등에 .. 2015. 12. 1.
인문계 고교 수업 혁신 도전기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수업 혁신’이란 구호는 공허하게 느껴질 수 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교사 중심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의 배움을 강조한 수업으로 전환하자는 것이 어느 정도 설득력이 있지만 인문계 고교의 경우, 입시 제도와 치열한 경쟁 학습 문화 속에서 수업 혁신은 왠지 낯설게 느껴지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은 수업 혁신을 특정한 수업 모형을 적용하거나 이벤트형 수업 정도로 생각한다. 하지만 수업 혁신은 한 번의 맛있는 프랑스 요리가 아니라 매 끼니 맛있고 따뜻한 쌀밥을 짓는 것처럼 일상 수업의 변화로 이어져야 한다. 수업 혁신이란 소수의 학생들만 배움이 일어나는 수업이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배움에 몰입할 수 있는 수업을 할 수도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무기력하게 잠자는 학생들.. 2015.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