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교혁신

교과의 벽을 뚫고 교육과정 디자인을 시도하기!

by 김현섭 2019. 8. 23.

교과서 지식의 전달자? 교육과정 디자이너?

최근 초등학교에서도 국정 교과서 체제에서 검인정 교과서 체제로 전환을 시도하게 되었다. 아쉽게도 전 과목은 아니지만 일단 사회과, 수학과, 과학과가 검인정 교과서 전환이 확정되었다. 국정 교과서 체제가 검인정 체제로 전환된다는 것은 교과서의 위치가 경전(Bible)이 아니라 교재(text)가 된다는 의미이다. 전통적인 교사의 역할은 교과서 내용을 충실하게 전달하는 것이라면 이제는 교사의 역할이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학생들의 눈높이와 특성에 맞추어 재구성하거나 교육과정을 창의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현실적으로 교과서 지식을 충실하게 전달하는 문화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거나 새롭게 디자인하여 가르친다는 것은 교사에게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교육과정 재구성 유형은 교과 내 재구성과 범교과적인 재구성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학교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범교과적 재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범교과적 교육과정 재구성

범교과적 교육과정 재구성이란 교과목 간의 통합을 통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범교과적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 개인 보다는 학년이나 교사 학습 공동체, 학교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으며, 실질적으로는 학년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다.

범교과적 교육과정 재구성과 유사한 개념으로 융합 혹은 통합 교육과정이 있다. 융합 혹은 통합 교육과정이 교육부에서 만들어 학교나 교사에게 제공하는 형태라면, 범교과적인 교육과정 재구성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학교나 교사가 성취기준에 따라 범교과적으로 다시 구성하는 형태이다. , 둘의 차이는 재구성의 주체가 누구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범교과적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지식이 존재하는 양상 자체가 개별 학문을 통한 접근만으로는 설명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컨대 우리는 에 대해서 과학적 측면에서만이 아닌 언어, 문학, 사회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둘째, 지식의 폭발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식은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학교에서 이 모든 지식을 다 가르칠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셋째, 사회적 맥락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분절된 지식으로 분절되지 않은 현실을 살아가는 것은 어렵다. 넷째, 새로운 지식을 기존의 정보와 연결하여 처리하는 인간 두뇌의 정보 처리 방식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전인 교육의 실현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범교과적 교육과정 재구성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이 구분되지 않는 통합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교사 학습 공동체 활동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범교과적 교육과정 재구성에는 장단점이 있다. 우선 학생의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되며, 특정 주제(지식)에 대한 심화 학습을 가능케 한다. 또한 교과 간 내용 중복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력 신장에 도움이 된다. 반면 학문적 체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지 못할 수 있으며, 교사 학습 공동체의 활성화가 전제되지 않으면 재구성 과정이 혼란스럽고 수준도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시험을 치르기가 불가능하며, 교사 입장에서는 준비를 하는 데 시간도 많이 들고 어려우며 중고등학교 수준으로 올라갈수록 더욱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범교과적 교육과정 재구성 절차

 

1. 배경 분석

학습자 분석

- 학업 성취도 수준, 학습 의욕 등

수업자 분석

- 교사의 교수 유형, 역량 등

학부모 요구

- 다양한 학부모들의 요구 고려

지역 사회의 교육 환경 및 학습을 위한 물적, 인적 자원 분석

- 지역 사회의 요구와 교육 환경 고려, 수업을 위한 물적, 인적 자원 지원 상황 고려

 

2. 교육과정 분석

국가 수준, 지역 수준, 학교 수준 교육과정 분석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분석

교과별 성취 기준 분석

 

3. 주제 (테마) 선정

다양한 과목에서 접근이 용이한 주제 선정

성취 기준, 학생 흥미, 학부모 및 지역 사회의 요구, 학교의 필요 및 여건, 학교 구성원들의 의견 반영

교사들이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주제 선정

지엽적이고 구체적인 주제보다는 포괄적이고 역량 중심적인 주제를 선정

 

4. 주제망 (마인드맵) 활동

브레인스토밍 형태로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펼치기

의미 있는 소주제(토픽)을 선정하기 위한 전 단계 활동

전반적인 학습 계획의 청사진

유연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제 활동

 

5. 소주제 및 목표 선정

대주제(테마)에 맞는 소주제를 선정하기

소주제에 맞는 학습 목표 선정하기

제한된 시간과 물리적, 공간적 한계 안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기 위한 구성 노력 필요

과목별 소주제 및 역할 분담

 

6. 핵심 질문 만들기

성취 기준을 고려한 핵심 질문 만들기

학습 목표를 중심으로 한 핵심 질문 만들기

- 학습 목표를 질문 형태로 만들기

- 핵심 질문은 수업 디자인의 기본 뼈대 역할을 함

 

7. 교과별 내용 재구성

재구성할 학습 요소 선정

교사 수준의 1차 재구성, 학습자 수준의 2차 재구성

단원 학습 나열 후 분류 및 배열

내용 재구성 결과 및 타 교과 간 학습 내용과의 연계성 점검

 

8.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계획 수립

교수 학습 방법 디자인

교수 학습 과정안 작성

학습지 만들기

성취 기준에 근거한 평가 계획 수립

 

9. 실천 및 평가, 피드백

교육 과정을 수업을 통해 실현하기

수업 후 반응 및 학습 결과물 정리

접근 방식에 따른 평가 활동 및 학생 참여 과정 기록

전반적인 재구성에 대한 피드백 활동

 

미래형 교육과정 디자인 사례는 신간 미래형 교육과정을 디자인하다를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