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혁신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by 김현섭 2014. 4. 30.

1만 시간 법칙이 있습니다. 어느 분야이든 간에 1만 시간을 투자하면 그 분야에서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전문성이란 열정 +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마다 자기가 관심있는 분야가 있습니다. 자기가 관심있는 분야에서 하고 싶은 일을 할 때 에너지를 얻습니다. 만약 수업 방법에 관심이 있어서 협동학습을 배워서 교실에서 실천하면 그 과정을 통해 많은 성취감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데 처음 협동학습을 실천할 때는 에너지를 얻지만 내가 원하는 결과가 잘 나오지 않거나 다른 많은 일들로 인하여 분주해지면 협동학습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다보면 진도에 쫓기거나 마음의 여유가 없어지면 협동학습 자체를 포기하여 예전 수업의 모습으로 돌아가 살아갑니다. 그러다가 우연히 프로젝트 수업 연수를 듣고 자극을 받으면 다시 한번 마음을 잡고 프로젝트 수업을 교실에서 시도하려고 하지만 결국 협동학습을 시도하려던 것처럼 비슷한 패턴으로 시도...하다가 시들해지는 것을 경험합니다.

사람은 누구에게나 열정이 있지만 그 열정을 1만 시간 동안 유지한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습니다. 열정은 관성을 무너뜨리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열정은 뜨겁기는 하지만 오랫동안 유지되기 힘든 속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수업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은 많아도 수업 전문가라고 인정받는 사람은 소수인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방법은 교사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수업 공동체에 속해있으면 수업 속에서 고민과 문제 해결 과정에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동체는 열정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한 해 동안 열심히 수업 준비를 해서 아이들과 함께 배움의 기쁨을 온전히 누리는 행복한 1년을 보낸 교사가 있습니다. 다음 해 수업을 할 때에는 작년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수업을 합니다. 그런데 수업 방식은 작년과 크게 다르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작년에 경험했던 성공의 기쁨을 온전히 누리지 못합니다. 작년에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아이들의 성장을 경험했는데 올해에는 아이들이 제대로 감을 잡지 못하고 프로젝트 결과물 수준도 작년에 이루지 못합니다. 무엇보다 교사가 수업을 해도 예전만큼의 에너지를 얻지 못합니다. 그 이유는 교사가 자기 수업 성공의 틀에 안주했기 때문입니다. 작년 수업만큼의 열정이 사라지고 대신 성공의 경험이 이를 대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이유는 학생들이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학생들은 대상화할 수 있는 고정적인 객체가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입니다. 작년 학생과 올해 학생은 분명 다름에도 불구하고 마치 작년 학생들처럼 올해 학생들을 대하기 때문입니다. 교사는 현재를 살아가고 있지만 과거의 틀 속에 갇혀져 있기 때문입니다. 수업에 대하여 끊임없이 고민하지 않으면 결국 실패할 수 밖에 없습니다. 자기가 만든 성공의 틀을 자기가 무너뜨리지 않으면 진정한 가르침과 배움의 기쁨을 교실에서 늘 경험하기 힘듭니다.

1만 시간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2-3년 동안 열심히 노력하면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작은 성공이 이어지고 그것이 큰 성공으로 연결됩니다. 성공을 경험하면 자존감이 올라갑니다. 그런데 주변에서 자기가 전문가라고 인정받는 순간 자기도 모르게 눈에 보이지 않는 그물에 빠져서 허우적 되는 일이 생기기 쉽습니다. 긍정적인 자존감은 어느덧 교만이라는 괴물로 변해 버립니다. 내가 전문가라는 정체성을 가지게 되면 주변 사람을 전문가와 비전문가로 구분합니다. 비전문가라고 여기는 사람 앞에서는 당당해 지는 것을 경험합니다. 이때는 상대방이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먼저 가르쳐주려고 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언제부터인가 자신의 삶과 언어가 분리된다는 것입니다. 협동학습 강사로 활동하면서 자신은 동료 교사와 협동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프로젝트 수업 강사로 활동하면서 정작 다른 사람들이 주체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끌어내지 않습니다. 회복적 생활 교육을 이야기하면서 자신은 다른 사람과의 갈등 속에서 회피합니다. 다른 교사들에게 수업 성찰을 강조하면서 정작 자기 수업에 대하여는 성찰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삶과 언어가 분리되는 순간 언어 속에 담겨진 힘이 사라집니다. 성공에 대한 안주가 결국 자기를 파멸로 이끌어갑니다.

 

 

지속적인 성장을 경험하고 성공을 맛보게 하는 것은 공동체입니다. 그리고 성공 뒤에 빠지기 쉬운 그물망으로부터 벗어나게 도와주는 것도 공동체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가장 큰 선물 중의 하나가 공동체라고 생각합니다. 수업 성장을 하려면 수업 공동체가 필요하고 영적 성장을 하려면 영적 공동체가 필요합니다. 나는 현재 어떠한 공동체에 속해있습니까? 내가 속한 공동체는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잘하고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