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형 혁신학교3

미래형 혁신학교? 혁신학교+미래학교?, 미래학교의 전 단계?, 새로운 학교 모델? 그동안 혁신학교 정책과 운동은 왜곡된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는 공교육 학교 혁신 모델로서 많은 성과를 나타냈다. 민주적 학교 문화를 기반으로 학교 자치 문화가 뿌리내리게 하였고, 지역 사회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이끌어내면서 교육과정 재구성, 배움 중심 수업, 과정 중심 평가를 정착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학생 생활 지도에 있어서 인권을 강조하고, 생활교육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했다. 그 결과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하지만 일부 혁신학교의 경우, 기존의 연구시범학교처럼 운영하는 ‘무늬만 혁신학교’인 경우도 있.. 2021. 10. 25.
미래학교, 어디까지 왔니? 다혼디배움학교? 행복나눔학교? 빛고을학교? 이러한 명칭의 공통점이 무엇일까? 정답은 혁신학교이다. 위의 용어들은 지역별 혁신학교 별칭들이다. 경기도교육청에서 처음으로 혁신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한 이래 전북교육청과 세종교육청에서도 혁신학교 명칭을 쓰고 있다. 하지만 다른 지역의 경우,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서울형 혁신학교(서울), 다혼디배움학교(제주), 행복씨앗학교(충북), 행복나눔학교(충남), 행복학교(경남), 빛고을학교(광주), 행복더학기학교(강원), 다행복학교(부산) 등등. 혁신학교는 공교육의 학교 혁신 모델로 시작된 자율학교이다. 2001년 남한초에서 시작된 새로운 학교 만들기 운동이 2009년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으로 제도화되어 왔다. 경기도교육청의 경우, 아래로부터의 개혁 운동을 제도화하.. 2020. 12. 23.
교육정책을 어떤 용어로 담아낼 것인가? 현재 교육부나 교육청 등 교육행정기관마다 2021년 새해 사업 준비로 매우 분주하게 지내고 있다. 새해가 되자마자 교육행정기관에서 새해 활동 계획이 발표될 것이다. 교육과정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문서(워딩)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어떤 용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가에 따라 사업 방향과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책 수립 시 어떤 용어를 사용해야 할지 신중할 필요가 있다. 정책 용어의 개념은 구체적이고 명료화되어야 실천 가능하고, 측정 가능하다. 그런데 용어 개념이 명료화되어 있지 않거나 애매하면 교육정책 운영 시 학교 현장에서 많은 혼란을 경험할 수 있다. 예전에 경기도교육청에서 초창기 수업혁신 정책을 "배움의 공동체"(2010) 용어를 사용했다. 그런데 일본 배움의 공동체 운동과 혼동되.. 2020.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