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 성장14

교사 힐링 캠프 "쉼과 성찰을 통해 교사의 수업 성장을 꿈꾸다" 교사들의 지친 마음과 몸을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오늘 6월 10일(금)-11일(토) 1박 2일동안 수업디자인연구소, 티스쿨, 양평농촌나드리 공동 주관 교사 힐링 캠프을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선생님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다립니다. 단체(교사학습공동체) 차원에서 신청하셔도 좋습니다.^^http://www.tschool.net/bbs/board.php?bo_table=menu05002&wr_id=65 2016. 5. 19.
내적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11가지 수업 원칙 1. 무엇보다 교사가 자기 수업에 대하여 흥미를 느껴야 한다. 무엇보다 교사가 자기 수업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교사가 자기 수업에 대하여 흥미를 느낄 수 있어야 그 흥미가 학생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런데 교사가 자기 수업에서 별 다른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지루하다는 것을 느끼면 그 지루함이 그대로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전달되어진다. 교사가 자기 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려면 수업 준비를 열심히 해야 한다. 수업 준비 부족은 교사에게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잃게 하는 주 원인이고 지루한 수업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대개의 교사들이 자기 수업에 대하여 지루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특히 중등학교의 교사의 경우, 동일한 학습 내용을 반복하여 수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반복 수업 방식에서 오는 지.. 2016. 1. 4.
많은 교사들이 자존감이 낮은 5가지 이유 대개 교사들이 자존감이 높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자존감이 낮은 경우가 많다. 교사들은 학창 시절 공부를 매우 잘했고 모범생의 길을 걸어왔으며 성장 과정에서 칭찬을 많이 받았고 유능하기에 교사로서 임용될 수 있었다. 그러기에 교사가 자존감이 높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1. 학생들과의 관계에서 오는 상처교실에서 학생들의 무례한 말이나 행동으로 인하여 교사들이 마음의 상처를 많이 받는다. 예전에는 학급당 인원수가 40명이 넘어도 교사의 권위를 인정하는 분위기가 있었기에 상대적으로 학생들의 질서 세우기가 상대적으로 잘 이루어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예전에 비해 학생 수가 많이 줄어들었는데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질서 세우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최근 핵가족화, 한 자.. 2015. 11. 10.
내 수업의 수준과 단계는 어디 쯤일까? 수업에도 수준과 단계가 있다?!수업에도 수준과 단계가 존재한다. 수많은 선생님들의 수업을 참관하고 수업코칭 활동을 하면서 교사의 수업 수준과 단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교사의 수업의 수준과 단계를 정리하는 데 있어서 단계를 구분하는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수업의 단계를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파커 파머는 교사와 학생, 지식과의 관계 연결망을 중심으로 2단계로 구분하였다. 인식의 객관론 신화 모델과 진리의 학습공동체 모델로 구분하였다. 인식의 객관화 신화 모델은 교사가 지식을 습득하여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다. 반면 진리의 학습공동체는 학습 주제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생이 활발한 상호 작용을 통해 교학상장(敎學相長)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유동걸(2015)은 질문의 상태에 따라.. 2015. 10. 3.
학교 안에서는 왜 교사가 수업 성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가? 2012년 3월 교육방송국(EBS)으로부터 한 통의 전화 연락을 받았다. ‘선생님이 달라졌어요’ 담당 작가였는데,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수업 코치로 활동해주길 바랬다. 평상시 해당 프로그램을 유의깊게 보았던 시청자이었기에 망설임없이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이후 1년 동안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하면서 참 많은 것을 느끼고 배울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1년 동안의 수업 코칭 과정을 통해 해당 선생님들이 변화하는 과정을 가까이에서 지켜보면서 수업 혁신에 대하여 많은 것을 생각하고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다. 처음 내가 가졌던 호기심은 ‘과연 어떠한 선생님들이 이 프로그램에 신청하는가?’ 였다. 왜냐하면 나라면 아무리 수업하기 힘들어도 전 국민 앞에서 내 수업을 공개할 용기가 없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프로그.. 2014.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