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교혁신

배움의 축제, 학술제

by 김현섭 2013. 11. 4.

아이들이 수업 시간이 잘 집중하지 않아요. 멍하니 칠판만 쳐다보거나 조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어요.”

의욕적으로 프로젝트 수업에 도전했지만 결국 실패하고 말았어요. 생각보다 학생들이 열심히 따라 주지 않았고, 교사 입장에서도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어요.”

 

교육과 삶과의 거리

파커 파머는 현재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비판한다.

우리는 머리와 가슴을 분리한다. 그 결과 머리는 느끼는 방법을 모르고 가슴은 생각하는 방법을 모른다.

우리는 사실과 느낌을 분리한다. 그 결과 생각 없는 사실은 이 세상을 막연한 어떤 곳으로 만들고, 무지한 느낌은 진리를 오늘의 느낌 수준으로 격하시킨다.

우리는 이론과 실천을 분리한다. 그 결과 이론은 생활과 별반 관계가 없고, 실천은 이해가 따르지 못한다.

우리는 가르침과 배움을 분리한다. 그 결과 교사들은 발언만 할 뿐 들으려 하지 않고, 학생들은 듣기만 할 뿐 말하려 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원론적 사고 방식들은 교육을 통합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게 하고 실패의 역설로 넘쳐나게 된다. 현행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교실에서의 가르침과 배움이 실제 삶과 차이가 있다. 그렇다면 머리와 가슴, 사실과 느낌, 이론과 실천, 가르침과 배움을 통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은 무엇인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들이 있겠지만 그중에서 대표적인 접근이 프로젝트 수업일 것이다.

 

프로젝트 수업

캇츠와 챠드(Katz & Chard)에 따르면,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의 지도하에 개별 학생, 모둠 또는 학급 전체가 책임을 지고 특정 주제에 대해 심도 있게 탐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가 제시한 학습 목표에 따라 단원 내용을 학습하는 형태가 아니라, 문제의식을 가지고 주제를 선정하는 단계부터 조사나 연구, 발표 및 평가에 이르기까지 학습의 전 과정에 걸쳐 학생들이 스스로 참여하는 수업 모형이다. 교사가 주도하는 수업이 객관적인 인식론에 근거한다면 주관적 인식론에 근거하여 학생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 형태이다. 여기에서 교사는 학생들과 활발한 피드백을 하며 학생들이 의미 있는 학습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내자이자 조력자이다.

프로젝트 수업은 기존 조별 발표식 수업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실제 운영 과정이나 평가 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다. 조별(unit) 학습은 교사가 사전에 계획하고 목적을 설정하며, 모든 학생들이 같은 활동을 한다. 수행 기간이 비교적 짧으며 주로 교사가 중심이 된다. 그러나 프로젝트(project)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협의하여 목적을 설정하고 여러 대안 중에서 학생이 선택하며, 수행 기간이 길고 학생 혹은 교사-학생 중심으로 진행된다.

교사가 얼마나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이끌어 내느냐에 프로젝트 수업의 성공 여부가 달려 있다. 학생들 스스로 주제를 선정하고 연구, 실행하도록 이끌어 나가는 과정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지만, 성공적으로 운영되었을 때 힘든 만큼 보람 있는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수업 모형이기도 하다.

프로젝트 수업모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종류

절차

개별 프로젝트 수업

- 학생마다 개별 주제 선정

- 관련 자료 수집

- 계획서 만들기 및 교사의 피드백

- 과제 수행 및 교사의 피드백

- 결과 보고서 작성

- 발표

- 평가

협력 프로젝트 수업

(학급 내 팀 프로젝트 수업)

- 주제 선정

교사가 학생들을 이질적인 모둠으로 구성한다.

모둠 세우기 활동을 통해 학생 상호 간의 신뢰를 쌓도록 한다.

교사가 테마를 제시한다.

학생들은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과 마인드 맵(mind map)으로 주제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을 정리한다.

주제에 대한 질문 목록을 만든다.

주제에 대한 핵심 질문을 만든다.

모둠별로 연구할 토픽을 정한다.

- 모둠 과제 조사

모둠원 각자가 영역을 나누어 관련 자료를 찾는다.

각자 찾아온 1차 자료를 가지고 토의한다.

자료를 토대로 보고서의 기본 골격을 만든다.

기본 골격에 따른 세부 자료를 보완하여 가져온다.

과제에 따라 단순한 조사 수준에서 벗어나 사회 참여 실천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시켜 실행한다.

- 모둠 과제 발표

모둠별로 과제물을 완성하여 보고서로 만든다.

모둠별로 과제를 프레젠테이션, 역할극, 토크쇼 등 다양한 형식으로 학급 전체에 발표한다.

- 평가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 대한 자료와 결과물을 포트폴리오 형태로 정리하여 제출한다.

동료 평가 방식 등 다면적 평가를 통해 종합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행평가시 수행평가 기준표(루브릭)로 평가하고 피드백한다.

 

 

배움의 축제, 학술제

프로젝트 수업을 학교 차원에서 지원하고 그 결과물을 공유하는 자리가 학술제이다. 프로젝트 수업의 결과물을 학교 차원에서 학술제를 통하여 풀어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지난 1030-31일 양일간 경기도 불곡중학교에서는 불곡 한빛 학술제가 열렸다. 우연한 기회에 필자가 학술제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이때 많은 것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본선대회에 53개팀 141명이 참가했고 최종 결선 대회에는 15개팀이 진출하여 최종 결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팀명

주제

1

창문해

전류가 흐르는 코일과 운동 에너지의 상관관계

2

영재 GIRL

우리만의 암호

3

쉐어&조이

학생들의 봉사활동 문제점과 해결방안

4

BGBS

인기 드라마의 흥행 요인(시크릿 가든을 중심으로)

5

꿈을 잡아라

드라마 속 직업들이 우리 진로에 미치는 영향

6

E-POPS

K-POP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7

SIL

세상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힘

8

온세미로

과거 게임 시장 연구를 통한 카카오톡 게임의 향후 발전 방향 탐색

9

BOB

숭례문 재건이 갖는 의미

10

도레미파솔라닌

솔라닌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해충제를 만들자

11

JUSTICE

비도덕적인 현행법 이대로 괜찮은가? (공소 시효와 특별 사면법)

12

F.H

영화의 종류 및 장르를 통해 본 영화 산업 발전의 중요성

13

MIDDLE LIGHT

독서, 아침을 만나다

14

꿈사공

상벌 다득점자의 홀랜드 진로 유형 조사

15

나온

학교 폭력 예방 및 실태

 

학기초 진로 동아리, 학술 동아리를 조직하여 주제별 탐구 논문을 작성하여 발표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수석교사를 중심으로 여러 명의 지도 교사들이 주제별로 학생 동아리를 지도하여 그 결과물을 학술제 형태로 발표하였다. 그리고 학술제에 발표한 논문들을 모아 학술집으로 발간하도록 하였다. 지도 과정에서 교사들이 많은 고생을 하였지만 최종 결과물 수준은 중학생 수준 그 이상이었다. 학생들은 예선과 본선과정을 거치면서 논문 작성법 뿐 아니라 10분 동안의 짧은 프리젠테이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프로젝트 결과물의 수준은 프리젠테이션 발표보다 질의 및 응답에서도 진가가 드러나는데, 질의 응답에서의 수준은 기대 이상이었다. 학술제를 통해 학생들이 배움의 도약을 경험하고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모습을 보면서 참 좋은 인상을 가지게 되었다. 다만 아쉬었던 점은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 중심으로 학술제가 진행되었고 수업 시간 이외의 활동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수업 시간 안에서 모든 학생들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려면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연구 활동이 전제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기말고사 이후 알찬 수업을 위해

2학기 기말 고사가 마치고 나면 학교마다 수업이 개점 휴업 상태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자기주도학습이라는 미명 아래 자습을 하거나 영화보는 것으로 시간을 때우는 경우가 생긴다. 이때라도 학교 차원에서 학년별로 교사들이 모여 통합 프로젝트 수업을 해보면 어떨까? 체험학습 활동과 연계하여 의미있는 프로젝트 활동을 진행하고 2월말에 전체 학생들 앞에서 그 결과물을 공유하는 학술제를 열어보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되리라 생각한다. 물론 교사들 입장에서는 생활기록부 정리 및 각종 학기말 업무로 바쁜 것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수업을 대충 마무리하는 것보다 이러한 프로젝트 수업 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배움의 기쁨을 누릴 수 있도록 함께 고생해보는 것이 어떨까?

 

 

'학교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격려하기(사회적 기술)  (0) 2013.11.22
불곡 한빛 학술제 이야기  (0) 2013.11.06
학교컨설팅  (0) 2013.10.25
경기도 혁신학교 컨설팅의 영역과 관점  (0) 2013.10.25
수준별 수업, 왜 하나?  (2) 2013.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