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혁신

수업혁신 모델

by 김현섭 2012. 12. 20.

수업을 어떻게 해야 하지?

“자리를 'ㄷ' 자로 배치하지 않았네요!”

“수업을 바라볼 때, 교사의 가르침보다는 학생의 배움을 바라보아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학교 혁신의 핵심은 수업 혁신이다. 최근 수업 혁신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단위 학교 차원에서 많이 실천되고 있다. 학년마다 교과마다 특성이 다른 상황에서 수업 혁신을 추진하려고 하니까 그리 쉽지 않다보니 특정 수업 혁신 모델을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사례가 많다. 그런데 특정 수업 혁신 모델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강조의 오류에 빠지는 경우들이 많다. 해당 수업 혁신 모델이 주장하고 있는 부분을 너무 강조하다 보니 다른 요소들을 상대적으로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보니 동일한 수업에 대하여도 각 수업 혁신 모델의 관점에 따라 상반된 평가가 나오기도 한다. 수업을 준비하는 교사 입장에서는 어떻게 수업을 해야 할 지 혼란을 경험하기도 한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최근 수업 혁신 모델로 각광받고 있는 배움의 공동체, 협동학습, 프로젝트 수업, 프레네 수업을 중심으로 간단히 비교해보고자 한다.

 

수업 혁신 모델의 특징 비교

수업혁신 모델

이론적 배경

장점

문제점

배움의 공동체

듀이의 진보주의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일본적 현실

-동아시아적 교육문화의 공통성

-철학적 거대 담론 풍부

-학생의 배움 강조

-교사간 협동 강조

-케이스 스터디 강조

-한국과 일본은 유사하나 다른 측면이 존재

-풍부한 거대 담론에 비해 빈약한 미세 담론

-학습의지가 낮은 학생에게 적용하기 여러움

협동학습

사회심리학

실용주의

-학습공동체 강조

-다인수 학급 적용

-수준별 수업과 경쟁 학습의 대안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한계

-구조화된 접근에 대한 비판

-활동은 있으나 배움이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

프로젝트 수업

진보주의

구성주의

-이론과 실천의 결합

-범교과적인 통합접근

-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습의지가 없거나 기초 지식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적용이 쉽지 않음

-교육과정 재구성, 교사의 전문성이 뒷받침되어야만 함

프레네 교육

신교육(진보주의)

사회주의

-학습의 몰입 및 일 강조

-학교를 민주적 협동체로 인식하고 구현함

-학생 참여형 수업 기술 제시(자유 글쓰기 등)

-한국과의 문화적 배경 차이가 존재함

-상대적으로 교사의 역할 축소

-프레네 수업 기술이 현재 그리 새로운 수업 기술들이 아님

수업 혁신 모델들 간의 관계

수업 혁신 모델과의 관계를 분석해보면 각 수업 혁신 모델만의 차이점과 독특성이 존재하고 있지만 동시에 공통점도 존재하고 있다. 교사의 가르침보다 학생의 배움을 강조한다는 것이고 협동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고 학생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학교를 교육공동체로 인식하고 교실을 학습공동체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민주적인 의사결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수업 혁신 모델

공통점

차이점 및 독특성

배움의 공동체

학생의 배움 강조

협동의 가치 중시

학생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학교 공동체, 학습공동체

민주적인 의사결정 및 참여

교사간 협동

철학적 담론 풍부

협동학습

학생간 협동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제시

프로젝트 수업

학생의 자기주도적 참여

문제 탐구 및 해결 강조

프레네 수업

학습의 몰입 및 일 강조

자유 글쓰기, 자가 수정 카드 등 프레네 수업 기술

표준화된 수업 혁신 모델 실천 과정에서의 장단점

표준화된 수업 혁신 모델을 단위학교에서 실천할 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첫째, 표준화된 수업 혁신 모델은 새내기 교사 훈련에 도움이 된다. 특히 학교 차원에서 수업 혁신을 처음 실천하려고 할 때 공동의 수업 혁신 모델에 대하여 담론을 형성하여 풀어갈 수 있다. 학교 차원에서 수업 혁신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하기 좋다.

둘째, 표준화된 수업 혁신 모델을 적용하면 교사들이 일정 수준까지 도달하기 쉽다. 각 수업 혁신 모델마다 제시하고 있는 기준이 있기 때문에 수업 혁신 모델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일정 수준에 도달할 수 있고 도달하지 못한 경우, 상호 피드백하기 쉽다.

셋째, 표준화된 수업 혁신 모델을 적용하면 수업 분석 및 수업 평가하기 좋다. 각 수업 혁신 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업 평가틀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수업을 분석하여 평가 및 피드백 활동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표준화된 수업 혁신 모델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문제점도 있다. 첫째, 표준화된 수업 혁신 모델을 강조하다보면 자칫 잘못하면 수업 혁신이 특정 수업 혁신 모델 안에서 갇힐 수 있다. 학습 주제와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업 접근이 가능하지만 특정 수업 모델만을 강조하다보면 그 안에서만 수업이 머무를 수 있다.

둘째, 특정 수업 혁신 모델만을 강조하다보면 중견 교사들에게 반발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기존 수업 방식에 익숙한 교사들에게 특정 수업 혁신 모델만을 강조하다보면 정서적인 반발감에 부딪힐 수 있다.

셋째, 표준화된 수업 혁신 모델만을 강조하다 보면 교조주의나 기계주의 경향으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움의 공동체에서 교실 자리를 ‘ㄷ’자로 배치하는 이유는 교사와 학생과의 사회적 상호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교사가 학생과의 눈맞춤(아이컨텍)을 하기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ㄷ’자 자리 배치는 학생수가 많고 교실이 적을 때는 공간 확보가 어렵고 사이드에 있는 학생들은 교사들을 바라볼 때 자세를 틀어야만 하기 때문에 신체적인 무리를 줄 수 있다. 특정 수업 혁신 모델만의 관점으로만 수업을 바라보고 다른 수업 혁신 모델에 대하여 배타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은 또 다른 오류에 빠질 수 있다.

다양한 수업 혁신 모델들은 교실에서 병존할 수 없는가?

다양한 수업 혁신 모델을 학교에서 동시에 실천할 수 없을까? 예를 들어 국어 시간에 협동학습과 프로젝트 수업, 자유 글쓰기를 동시에 적용할 수 없을까? 어떤 학교에서 사회 시간에는 사회 참여 프로젝트 수업, 수학시간에는 수준별 수업, 영어 시간에 협동학습을 실천한다면 무슨 문제가 발생할까?

수업 혁신은 유일한 해답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백인백색(百人百色), 백과백색(百科百色), 백교백색(百校百色)이다. 즉, 교사의 특성에 따라, 과목적 특성에 따라, 학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일부 사람들은 마치 특정 수업 혁신 모델만을 강조하면서 기계주의적이고 교조주의적 관점에서 적용하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 철학의 부재, 원조의식, 강조의 오류 등에서 비롯된다. 교육 철학의 부재는 각 수업혁신이 추구하는 정신과 철학에 대하여 충분히 고민하지 못하고 시대적인 유행에 따라 대세를 쫓아가려는 경향으로 이어진다. 한국적 문화만의 독특한 정통 및 원조 의식은 어떠한 교육 사상과 방법론을 철저하게 지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를 통하여 다른 사람들과의 차별성을 부각하면서 대중들로부터 정통으로 인정받고자 노력하면서 비슷한 주장을 펼치는 다른 사람들을 배척하려는 경우가 많다. 강조의 오류란 어떤 부분을 강조하다 보니 나머지 요소들을 상대적으로 소홀히 여기거나 업신여기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업에서 교사의 가르침만을 강조하던 기존 수업 관찰 방식을 비판하면서 학생의 배움을 강조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접근이지만 그렇다고 수업을 관찰할 때 학생의 배움만을 강조하고 교사의 가르침 요소를 소홀히 여긴다면 수업을 온전히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의 배움은 교사의 가르침의 의도 안에서 이루어질 때 의미있는 배움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업에서 교사의 가르침과 학생의 배움은 씨줄과 날줄처럼 상호 보완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