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혁신

2023 인천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by 김현섭 2023. 11. 28.

수업디자인연구소에서 인천시교육청과 함께 2023 인천 지역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해당 결과와 분석을 정리하여 올립니다.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에 관심있는 분들은 참고해 보세요.

 

전문적학습공동체 사업 혁신을 위한 설문조사

 

 

1. 설문조사의 개요

 

. 설문조사 목적

 

현재 전문적학습공동체 현황에 대한 파악과 필요를 분석하고, 내년 전문적학습공동체 사업을 혁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학교 차원과 교육청 차원에서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

 

. 설문 대상 및 응답 현황

 

인천 교원 및 교육전문직원을 대상으로 20231027일부터 2023113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한 대상자는 총 787명이다. 자세한 내용은 <1>과 같다.

 

<1> 설문 응답 현황

  TOTAL
사례수 %
전체 787 (100.0)
학교급 유치원 18 (2.3)
초등학교 441 (56.0)
중학교 200 (25.4)
고등학교 124 (15.8)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4)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1)
설립구분 국공립 761 (96.7)
사립 26 (3.3)
직위 학교관리자(교장, 교감) 57 (7.2)
수석교사 4 (.5)
부장교사 261 (33.2)
교사 453 (57.6)
교육전문직 12 (1.5)
근무경력 5년 미만 99 (12.6)
5-14 182 (23.1)
15-24 287 (36.5)
25년 이상 219 (27.8)

응답자 787명 중 초등학교(56%), ·고등학교(41.2%) 순으로 비중이 높았으며, 교사( 부장교사 포함)의 비중이(90.8%) 높았다. 설문 결과는 응답자의 9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 국공립 초··고 교사(부장교사 포함)들의 인식으로 생각하면 될 것이며, 문항별로 소수 의견도 함께 비교 분석해 보면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1)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필요성

 

<Q1> 전문적학습공동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까?

  사례수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 전혀 필요하지 않다. 평균
% % % % %
전체 787 491 (62.4) 246 (31.3) 41 (5.2) 9 (1.1) 787 (100.0) 3.55
학교급 유치원 18 13 (72.2) 5 (27.8) 0 (.0) 0 (.0) 18 (100.0) 3.72
초등학교 441 309 (70.1) 114 (25.9) 15 (3.4) 3 (.7) 441 (100.0) 3.65
중학교 200 92 (46.0) 83 (41.5) 19 (9.5) 6 (3.0) 200 (100.0) 3.31
고등학교 124 74 (59.7) 43 (34.7) 7 (5.6) 0 (.0) 124 (100.0) 3.54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2 (66.7) 1 (33.3) 0 (.0) 0 (.0) 3 (100.0) 3.67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1 (100.0) 0 (.0) 0 (.0) 0 (.0) 1 (100.0) 4.00
설립
구분
국공립 761 477 (62.7) 237 (31.1) 38 (5.0) 9 (1.2) 761 (100.0) 3.55
사립 26 14 (53.8) 9 (34.6) 3 (11.5) 0 (.0) 26 (100.0) 3.42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57 48 (84.2) 9 (15.8) 0 (.0) 0 (.0) 57 (100.0) 3.84
수석교사 4 4 (100.0) 0 (.0) 0 (.0) 0 (.0) 4 (100.0) 4.00
부장교사 261 166 (63.6) 80 (30.7) 12 (4.6) 3 (1.1) 261 (100.0) 3.57
교사 453 266 (58.7) 152 (33.6) 29 (6.4) 6 (1.3) 453 (100.0) 3.50
교육전문직 12 7 (58.3) 5 (41.7) 0 (.0) 0 (.0) 12 (100.0) 3.58
근무
경력
5년 미만 99 43 (43.4) 50 (50.5) 6 (6.1) 0 (.0) 99 (100.0) 3.37
5-14 182 108 (59.3) 58 (31.9) 13 (7.1) 3 (1.6) 182 (100.0) 3.49
15-24 287 186 (64.8) 85 (29.6) 11 (3.8) 5 (1.7) 287 (100.0) 3.57
25년 이상 219 154 (70.3) 53 (24.2) 11 (5.0) 1 (.5) 219 (100.0) 3.64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지표인 의 합이 787명 중 737명으로 93.7%를 차지했. 대부분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고 분석된다.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의 결과를 비율적으로 보면 수석교사 그룹 100%, 학교관리자 84.2%, 부장교사 63.6%, 교사 58.7%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전문직 그룹에서 58.3%만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학교 급별로 보면 중학교에서 의 응답이 53.8%로 다른 그룹에 비해 다소 낮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의 비율도 12.5%로 가장 높은 것에 대해 이유를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근무경력이 높아질수록 필요하다는 비율도 높아졌다.

(2)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에 따른 교직 전문성 신장 도움 여부

 

<Q2>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가 교사의 수업 성장 및 교직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나요?

  사례수 매우 도움이 된다. 도움이 된다.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평균
% % % % %
전체 787 465 (59.1) 261 (33.2) 50 (6.4) 11 (1.4) 787 (100.0) 3.50
학교급 유치원 18 12 (66.7) 6 (33.3) 0 (.0) 0 (.0) 18 (100.0) 3.67
초등학교 441 295 (66.9) 125 (28.3) 17 (3.9) 4 (.9) 441 (100.0) 3.61
중학교 200 87 (43.5) 84 (42.0) 23 (11.5) 6 (3.0) 200 (100.0) 3.26
고등학교 124 67 (54.0) 46 (37.1) 10 (8.1) 1 (.8) 124 (100.0) 3.44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3 (100.0) 0 (.0) 0 (.0) 0 (.0) 3 (100.0) 4.0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1 (100.0) 0 (.0) 0 (.0) 0 (.0) 1 (100.0) 4.00
설립구분 국공립 761 453 (59.5) 250 (32.9) 47 (6.2) 11 (1.4) 761 (100.0) 3.50
사립 26 12 (46.2) 11 (42.3) 3 (11.5) 0 (.0) 26 (100.0) 3.35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57 42 (73.7) 15 (26.3) 0 (.0) 0 (.0) 57 (100.0) 3.74
수석교사 4 4 (100.0) 0 (.0) 0 (.0) 0 (.0) 4 (100.0) 4.00
부장교사 261 160 (61.3) 81 (31.0) 16 (6.1) 4 (1.5) 261 (100.0) 3.52
교사 453 253 (55.8) 159 (35.1) 34 (7.5) 7 (1.5) 453 (100.0) 3.45
교육전문직 12 6 (50.0) 6 (50.0) 0 (.0) 0 (.0) 12 (100.0) 3.50
근무경력 5년 미만 99 38 (38.4) 52 (52.5) 9 (9.1) 0 (.0) 99 (100.0) 3.29
5-14 182 103 (56.6) 63 (34.6) 13 (7.1) 3 (1.6) 182 (100.0) 3.46
15-24 287 178 (62.0) 87 (30.3) 15 (5.2) 7 (2.4) 287 (100.0) 3.52
25년 이상 219 146 (66.7) 59 (26.9) 13 (5.9) 1 (.5) 219 (100.0) 3.60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지표인 의 합이 787명 중 726명으로 92.3%를 차지했. 대부분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가 교직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분석된다.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의 결과는 앞 문항과 동일하게 수석교사-학교관리자-부장교사-교사-교육전문직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별로 보면 중학교의 부정적 응답 비율이 가장 높은 것과 근무 경력이 높아질수록 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도 앞 문항과 동일한 결과이다. 큰 차이는 아니지만 전문적학습공동체가 필요하냐는 질문에 비해 긍정의 응답 결과가 약간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

 

(3)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참여 여부 및 횟수

 

<Q3-1> 현재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까?

  사례수 참여하고 있다. 참여하고 있지 않다.
% % %
전체 787 732 (93.0) 55 (7.0) 787 (100.0)
학교급 유치원 18 11 (61.1) 7 (38.9) 18 (100.0)
초등학교 441 407 (92.3) 34 (7.7) 441 (100.0)
중학교 200 194 (97.0) 6 (3.0) 200 (100.0)
고등학교 124 116 (93.5) 8 (6.5) 124 (100.0)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3 (100.0) 0 (.0) 3 (100.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1 (100.0) 0 (.0) 1 (100.0)
설립구분 국공립 761 708 (93.0) 53 (7.0) 761 (100.0)
사립 26 24 (92.3) 2 (7.7) 26 (100.0)
직위 학교관리자(교장, 교감) 57 45 (78.9) 12 (21.1) 57 (100.0)
수석교사 4 4 (100.0) 0 (.0) 4 (100.0)
부장교사 261 252 (96.6) 9 (3.4) 261 (100.0)
교사 453 422 (93.2) 31 (6.8) 453 (100.0)
교육전문직 12 9 (75.0) 3 (25.0) 12 (100.0)
근무경력 5년 미만 99 92 (92.9) 7 (7.1) 99 (100.0)
5-14 182 167 (91.8) 15 (8.2) 182 (100.0)
15-24 287 274 (95.5) 13 (4.5) 287 (100.0)
25년 이상 219 199 (90.9) 20 (9.1) 219 (100.0)

 

응답자의 93%가 현재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추후 유사한 설문이 실시 가능하다면 전문적학습공동체에 단순히 구성되어 있는(명단만) 경우를 제외하고 정기적으로 유의미한 활동에 실제 참여하고 있는 비율을 분석할 수 있는 문항을 넣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학교급별에서 유치원의 미참여 비율이(38.9%) 높은 이유에 대해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학교관리자의 78.9%가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결과에 대해서도 실제로 어떤 참여가 이뤄지고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Q3_2> 현재 참여하고 있는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모임 횟수는 어느 정도입니까?

  사례수 1회 이상 2회 이상 1 비정기적임
% % % % %
전체 732 73 (10.0) 145 (19.8) 418 (57.1) 96 (13.1) 732 (100.0)
학교급 유치원 11 0 (.0) 0 (.0) 8 (72.7) 3 (27.3) 11 (100.0)
초등학교 407 55 (13.5) 85 (20.9) 232 (57.0) 35 (8.6) 407 (100.0)
중학교 194 17 (8.8) 52 (26.8) 111 (57.2) 14 (7.2) 194 (100.0)
고등학교 116 1 (.9) 8 (6.9) 63 (54.3) 44 (37.9) 116 (100.0)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0 (.0) 0 (.0) 3 (100.0) 0 (.0) 3 (100.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0 (.0) 0 (.0) 1 (100.0) 0 (.0) 1 (100.0)
설립
구분
국공립 708 71 (10.0) 144 (20.3) 402 (56.8) 91 (12.9) 708 (100.0)
사립 24 2 (8.3) 1 (4.2) 16 (66.7) 5 (20.8) 24 (100.0)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45 6 (13.3) 11 (24.4) 22 (48.9) 6 (13.3) 45 (100.0)
수석교사 4 0 (.0) 2 (50.0) 2 (50.0) 0 (.0) 4 (100.0)
부장교사 252 26 (10.3) 56 (22.2) 133 (52.8) 37 (14.7) 252 (100.0)
교사 422 39 (9.2) 75 (17.8) 257 (60.9) 51 (12.1) 422 (100.0)
교육전문직 9 2 (22.2) 1 (11.1) 4 (44.4) 2 (22.2) 9 (100.0)
근무
경력
5년 미만 92 9 (9.8) 17 (18.5) 56 (60.9) 10 (10.9) 92 (100.0)
5-14 167 19 (11.4) 36 (21.6) 92 (55.1) 20 (12.0) 167 (100.0)
15-24 274 30 (10.9) 50 (18.2) 158 (57.7) 36 (13.1) 274 (100.0)
25년 이상 199 15 (7.5) 42 (21.1) 112 (56.3) 30 (15.1) 199 (100.0)

전체적으로 월 1회가 가장 많았으며, 2회 및 주 1회 이상 운영되는 전문적학습공동체도 적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고등학교는 초·중학교에 비해 월 1회 운영 또는 비정기 운영의 비율이 높은 부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공립이 사립학교에 비해 모임 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임 횟수는 직위나 근무 경력에 따른 응답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4) 현재 참여하고 있는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만족도 및 응답별 이유

 

<Q4_1> 현재 참여하고 있는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어떠합니까?

  사례수 매우 만족스럽다. 만족스럽다. 만족스럽지 않다.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 평균
% % % % %
전체 732 397 (54.2) 250 (34.2) 64 (8.7) 21 (2.9) 732 (100.0) 3.40
학교급 유치원 11 7 (63.6) 4 (36.4) 0 (.0) 0 (.0) 11 (100.0) 3.64
초등학교 407 263 (64.6) 109 (26.8) 24 (5.9) 11 (2.7) 407 (100.0) 3.53
중학교 194 71 (36.6) 86 (44.3) 29 (14.9) 8 (4.1) 194 (100.0) 3.13
고등학교 116 55 (47.4) 48 (41.4) 11 (9.5) 2 (1.7) 116 (100.0) 3.34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1 (33.3) 2 (66.7) 0 (.0) 0 (.0) 3 (100.0) 3.33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0 (.0) 1 (100.0) 0 (.0) 0 (.0) 1 (100.0) 3.00
설립구분 국공립 708 388 (54.8) 238 (33.6) 63 (8.9) 19 (2.7) 708 (100.0) 3.41
사립 24 9 (37.5) 12 (50.0) 1 (4.2) 2 (8.3) 24 (100.0) 3.17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45 27 (60.0) 14 (31.1) 3 (6.7) 1 (2.2) 45 (100.0) 3.49
수석교사 4 4 (100.0) 0 (.0) 0 (.0) 0 (.0) 4 (100.0) 4.00
부장교사 252 141 (56.0) 73 (29.0) 28 (11.1) 10 (4.0) 252 (100.0) 3.37
교사 422 220 (52.1) 159 (37.7) 33 (7.8) 10 (2.4) 422 (100.0) 3.40
교육전문직 9 5 (55.6) 4 (44.4) 0 (.0) 0 (.0) 9 (100.0) 3.56
근무경력 5년 미만 92 34 (37.0) 50 (54.3) 7 (7.6) 1 (1.1) 92 (100.0) 3.27
5-14 167 88 (52.7) 55 (32.9) 16 (9.6) 8 (4.8) 167 (100.0) 3.34
15-24 274 157 (57.3) 85 (31.0) 23 (8.4) 9 (3.3) 274 (100.0) 3.42
25년 이상 199 118 (59.3) 60 (30.2) 18 (9.0) 3 (1.5) 199 (100.0) 3.47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필요성과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문항과 비교해 의 응답 비율이 전체적으로 낮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중학교의 매우 만족 응답 비율이 36.6%로 초등학교 64.6%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경력에 따른 설문 결과는 앞 문항들과 동일하게 경력이 올라갈수록 긍정 응답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 문항들을 통해 이유를 분석해보자.

 

 

<Q4_2> 만족한 경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례수 비전, 목적, 가치, 주제에 대한 충분한 합의와 공유 협력적 학습의 실천과 나눔 과정 인적 네트워크 형성에 따른 정서적인 소속감 증대 및 정서적 안정 해당 주제에 대한 전문성 신장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 기타 (자세히:
% % % % % %
전체 647 186 (28.7) 424 (65.5) 362 (56.0) 215 (33.2) 142 (21.9) 5 (.8)
학교급 유치원 11 4 (36.4) 7 (63.6) 4 (36.4) 3 (27.3) 4 (36.4) 1 (9.1)
초등학교 372 123 (33.1) 234 (62.9) 221 (59.4) 146 (39.2) 82 (22.0) 2 (.5)
중학교 157 33 (21.0) 115 (73.2) 84 (53.5) 29 (18.5) 36 (22.9) 2 (1.3)
고등학교 103 26 (25.2) 65 (63.1) 51 (49.5) 34 (33.0) 19 (18.4) 0 (.0)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0 (.0) 2 (66.7) 1 (33.3) 2 (66.7) 1 (33.3) 0 (.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0 (.0) 1 (100.0) 1 (100.0) 1 (100.0) 0 (.0) 0 (.0)
설립구분 국공립 626 178 (28.4) 410 (65.5) 352 (56.2) 206 (32.9) 138 (22.0) 5 (.8)
사립 21 8 (38.1) 14 (66.7) 10 (47.6) 9 (42.9) 4 (19.0) 0 (.0)
직위 학교관리자(교장,교감) 41 16 (39.0) 25 (61.0) 25 (61.0) 14 (34.1) 19 (46.3) 0 (.0)
수석교사 4 2 (50.0) 3 (75.0) 3 (75.0) 2 (50.0) 2 (50.0) 0 (.0)
부장교사 214 59 (27.6) 149 (69.6) 119 (55.6) 68 (31.8) 46 (21.5) 1 (.5)
교사 379 108 (28.5) 241 (63.6) 210 (55.4) 129 (34.0) 72 (19.0) 4 (1.1)
교육전문직 9 1 (11.1) 6 (66.7) 5 (55.6) 2 (22.2) 3 (33.3) 0 (.0)
근무경력 5년 미만 84 24 (28.6) 47 (56.0) 50 (59.5) 25 (29.8) 18 (21.4) 1 (1.2)
5-14 143 41 (28.7) 86 (60.1) 87 (60.8) 44 (30.8) 24 (16.8) 3 (2.1)
15-24 242 73 (30.2) 163 (67.4) 132 (54.5) 99 (40.9) 55 (22.7) 0 (.0)
25년 이상 178 48 (27.0) 128 (71.9) 93 (52.2) 47 (26.4) 45 (25.3) 1 (.6)

전체적으로 협력적 학습의 실천과 나눔 과정(65.5%), 인적 네트워크 형성에 따른 정서적인 소속감 증대 및 정서적 안정(56.0%), 해당 주제에 대한 전문성 신장(33.2%) 순으로 만족하는 이유에 대해 응답했다. 전문적학습공동체가 학교의 비전 공유나 해당 분야의 전문성 신장보다는 함께 협력하고 실천하는 공동체성과 관계성을 통한 소속감 증대 및 정서적 안정이 교원에게 주는 긍정적 힘이 더 크다는 응답인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비전, 목적, 가치, 주제에 대한 충분한 합의와 공유 항목은 사립이 국공립보다 비율이 높은 부분도 의미가 있다.

 

<Q4_3> 만족하지 못한 경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례수 비전, 목적, 가치, 주제 공유 부족 강제적인 회원 가입 내지 비민주적인 운영 회원 간의 갈등 또는 소통의 어려움 해당 주제에 대한 전문성 신장 효과 미미 구성원들의 수동적인 참여 시간 및 예산 지원 부족 형식적인 운영 기타 (자세히:
% % % % % % % %
전체 85 23 (27.1) 23 (27.1) 4 (4.7) 32 (37.6) 41 (48.2) 27 (31.8) 38 (44.7) 9 (10.6)
학교급 초등학교 35 8 (22.9) 7 (20.0) 2 (5.7) 9 (25.7) 17 (48.6) 7 (20.0) 13 (37.1) 6 (17.1)
중학교 37 12 (32.4) 13 (35.1) 2 (5.4) 16 (43.2) 17 (45.9) 16 (43.2) 15 (40.5) 3 (8.1)
고등학교 13 3 (23.1) 3 (23.1) 0 (.0) 7 (53.8) 7 (53.8) 4 (30.8) 10 (76.9) 0 (.0)
설립구분 국공립 82 23 (28.0) 23 (28.0) 4 (4.9) 30 (36.6) 39 (47.6) 25 (30.5) 35 (42.7) 9 (11.0)
사립 3 0 (.0) 0 (.0) 0 (.0) 2 (66.7) 2 (66.7) 2 (66.7) 3 (100.0) 0 (.0)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교감)
4 3 (75.0) 0 (.0) 0 (.0) 2 (50.0) 4 (100.0) 1 (25.0) 3 (75.0) 0 (.0)
부장교사 38 11 (28.9) 8 (21.1) 3 (7.9) 14 (36.8) 20 (52.6) 13 (34.2) 17 (44.7) 3 (7.9)
교사 43 9 (20.9) 15 (34.9) 1 (2.3) 16 (37.2) 17 (39.5) 13 (30.2) 18 (41.9) 6 (14.0)
근무경력 5년 미만 8 1 (12.5) 3 (37.5) 0 (.0) 1 (12.5) 3 (37.5) 2 (25.0) 4 (50.0) 1 (12.5)
5-14 24 7 (29.2) 9 (37.5) 2 (8.3) 12 (50.0) 8 (33.3) 9 (37.5) 8 (33.3) 3 (12.5)
15-24 32 7 (21.9) 8 (25.0) 1 (3.1) 13 (40.6) 21 (65.6) 10 (31.3) 14 (43.8) 3 (9.4)
25년 이상 21 8 (38.1) 3 (14.3) 1 (4.8) 6 (28.6) 9 (42.9) 6 (28.6) 12 (57.1) 2 (9.5)

전체 응답자 787명 중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 응답한 수는 85(10.8%)이다. 전체적으로는 구성원들의 수동적 참여(48.2%), 형식적은 운영(44.7%), 해당 주제에 대한 전문성 신장 효과 미비(37.6%), 시간 및 예산지원 부족(31.8%)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는 형식적인 운영 응답 비율(76.9%)이 매우 높았다. 학교관리자 그룹에서는 구성원들의 수동적 참여(100%), 형식적인 운영(75%), 비전 목적 가치 주제 공유(75%)의 응답을 나타냈.

강제적인 회원 가입 내지 비민주적 운영을 이유로 선택한 비율은 27.1%로 학교급별 차이는 있으나 크게 차이나지 않으며 예상에 비해 낮은 응답을 보였다. 회원간의 갈등 또는 소통의 어려움은 매우 낮은 응답율을 보여 해당 이유로 인한 어려움은 크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5)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및 미참여 이유

 

<Q5-1>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참여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례수 관심있는 주제에 대한 전문성 신장 구성원들 간 소통 강화 및 관계 형성 학교 운영 방침에 따름 주변 지인의 권유 또는 부탁 기타 (자세히:
% % % % % %
전체 732 211 (28.8) 398 (54.4) 109 (14.9) 1 (.1) 13 (1.8) 732 (100.0)
학교급 유치원 11 1 (9.1) 9 (81.8) 1 (9.1) 0 (.0) 0 (.0) 11 (100.0)
초등학교 407 127 (31.2) 239 (58.7) 34 (8.4) 1 (.2) 6 (1.5) 407 (100.0)
중학교 194 38 (19.6) 95 (49.0) 54 (27.8) 0 (.0) 7 (3.6) 194 (100.0)
고등학교 116 43 (37.1) 53 (45.7) 20 (17.2) 0 (.0) 0 (.0) 116 (100.0)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2 (66.7) 1 (33.3) 0 (.0) 0 (.0) 0 (.0) 3 (100.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0 (.0) 1 (100.0) 0 (.0) 0 (.0) 0 (.0) 1 (100.0)
설립구분 국공립 708 204 (28.8) 384 (54.2) 106 (15.0) 1 (.1) 13 (1.8) 708 (100.0)
사립 24 7 (29.2) 14 (58.3) 3 (12.5) 0 (.0) 0 (.0) 24 (100.0)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45 14 (31.1) 26 (57.8) 3 (6.7) 0 (.0) 2 (4.4) 45 (100.0)
수석교사 4 3 (75.0) 1 (25.0) 0 (.0) 0 (.0) 0 (.0) 4 (100.0)
부장교사 252 71 (28.2) 137 (54.4) 40 (15.9) 0 (.0) 4 (1.6) 252 (100.0)
교사 422 119 (28.2) 230 (54.5) 65 (15.4) 1 (.2) 7 (1.7) 422 (100.0)
교육전문직 9 4 (44.4) 4 (44.4) 1 (11.1) 0 (.0) 0 (.0) 9 (100.0)
근무경력 5년 미만 92 22 (23.9) 54 (58.7) 15 (16.3) 1 (1.1) 0 (.0) 92 (100.0)
5-14 167 37 (22.2) 89 (53.3) 37 (22.2) 0 (.0) 4 (2.4) 167 (100.0)
15-24 274 97 (35.4) 139 (50.7) 34 (12.4) 0 (.0) 4 (1.5) 274 (100.0)
25년 이상 199 55 (27.6) 116 (58.3) 23 (11.6) 0 (.0) 5 (2.5) 199 (100.0)

전체적으로 구성원들 간 소통 강화 및 관계 형성이 가장 중요한 이유(54.4%)라고 응답되었고, 모든 학교급에서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관심있는 주제에 대한 전문성 신장이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30%대 응답을 보였으나 중학교에서는 20%에 미치지 못했으며 학교 운영 방침에 따라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도 27.8%로 타 학교급에 비해 높은 부분에 대한 원인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현재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참여하고 있는 경우 학교의 운영방침이나 주변의 권유보다는 자발적인 이유(공동체성 및 전문성 신장)로분석된다.

<Q5_2> 현재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례수 모임 자체 필요성 인식 부족 바쁜 업무로 인한 심리적인 여유 부족 학교차원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시간 미확보 우리 학교만의 특수한 교직문화 부실한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기타 (자세히:
% % % % % %
전체 55 2 (3.6) 29 (52.7) 10 (18.2) 4 (7.3) 5 (9.1) 16 (29.1)
학교급 유치원 7 0 (.0) 3 (42.9) 1 (14.3) 0 (.0) 0 (.0) 3 (42.9)
초등학교 34 1 (2.9) 23 (67.6) 7 (20.6) 3 (8.8) 4 (11.8) 6 (17.6)
중학교 6 1 (16.7) 2 (33.3) 1 (16.7) 0 (.0) 1 (16.7) 2 (33.3)
고등학교 8 0 (.0) 1 (12.5) 1 (12.5) 1 (12.5) 0 (.0) 5 (62.5)
설립구분 국공립 53 2 (3.8) 29 (54.7) 10 (18.9) 4 (7.5) 5 (9.4) 14 (26.4)
사립 2 0 (.0) 0 (.0) 0 (.0) 0 (.0) 0 (.0) 2 (100.0)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12 0 (.0) 3 (25.0) 0 (.0) 3 (25.0) 0 (.0) 7 (58.3)
부장교사 9 1 (11.1) 6 (66.7) 1 (11.1) 0 (.0) 0 (.0) 2 (22.2)
교사 31 1 (3.2) 19 (61.3) 8 (25.8) 0 (.0) 4 (12.9) 7 (22.6)
교육전문직 3 0 (.0) 1 (33.3) 1 (33.3) 1 (33.3) 1 (33.3) 0 (.0)
근무경력 5년 미만 7 0 (.0) 6 (85.7) 2 (28.6) 0 (.0) 1 (14.3) 0 (.0)
5-14 15 0 (.0) 6 (40.0) 4 (26.7) 1 (6.7) 2 (13.3) 5 (33.3)
15-24 13 1 (7.7) 8 (61.5) 1 (7.7) 0 (.0) 1 (7.7) 2 (15.4)
25년 이상 20 1 (5.0) 9 (45.0) 3 (15.0) 3 (15.0) 1 (5.0) 9 (45.0)

55명이 응답한 결과로 전체 응답수에 비해 낮은 비율임을 감안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바쁜 업무로 인한 심리적 여유 부족이 52.7%로 나타났다. 교사 그룹에서는 학교차원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시간이 미확보 되었기 때문이라라고 25.8%가 응답했다. 학교내 전문적학습공동체가 부실해서라기 보다는 바쁜 업무로 심적 여유가 부족하고 시간 확보도 어렵기 때문이라고 다수가 응답한 것으로 분석된다.

(6)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유형

 

<Q6> 현재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유형은 어떠합니까?

  사례수 학년형 교과형 주제형
% % % %
전체 732 427 (58.3) 47 (6.4) 258 (35.2) 732 (100.0)
학교급 유치원 11 3 (27.3) 0 (.0) 8 (72.7) 11 (100.0)
초등학교 407 273 (67.1) 3 (.7) 131 (32.2) 407 (100.0)
중학교 194 137 (70.6) 10 (5.2) 47 (24.2) 194 (100.0)
고등학교 116 13 (11.2) 34 (29.3) 69 (59.5) 116 (100.0)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1 (33.3) 0 (.0) 2 (66.7) 3 (100.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0 (.0) 0 (.0) 1 (100.0) 1 (100.0)
설립구분 국공립 708 425 (60.0) 45 (6.4) 238 (33.6) 708 (100.0)
사립 24 2 (8.3) 2 (8.3) 20 (83.3) 24 (100.0)
직위 학교관리자(교장, 교감) 45 17 (37.8) 1 (2.2) 27 (60.0) 45 (100.0)
수석교사 4 0 (.0) 1 (25.0) 3 (75.0) 4 (100.0)
부장교사 252 144 (57.1) 18 (7.1) 90 (35.7) 252 (100.0)
교사 422 261 (61.8) 27 (6.4) 134 (31.8) 422 (100.0)
교육전문직 9 5 (55.6) 0 (.0) 4 (44.4) 9 (100.0)
근무경력 5년 미만 92 52 (56.5) 6 (6.5) 34 (37.0) 92 (100.0)
5-14 167 106 (63.5) 8 (4.8) 53 (31.7) 167 (100.0)
15-24 274 155 (56.6) 23 (8.4) 96 (35.0) 274 (100.0)
25년 이상 199 114 (57.3) 10 (5.0) 75 (37.7) 199 (100.0)

학교급별로 참여하는 유형이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는 타 학교급에 비해 주제형(59.5%) 및 교과형(29.3%)이 높은 반면, ·중학교에서는 학년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형은 전국적으로 초등학교에서 많이 나타나는 형태인데, 중학교에서 70.6%가 학년형을 선택한 것은 인천시교육청 차원에서 적극 권면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7)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주제

 

<Q7_1> 수업을 주제로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경우, 진행 방식은 어떠한가요?

  사례수 각자의 수업 고민을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수업수다)
수업 관련 책을 읽고 책 나눔 활동을 한다.
(독서토론모임)
수업공개를 하고 수업자의 고민을 중심으로 수업대화를 진행한다. (수업나눔) 각자 수업지도안을 구성하여 발표하고 서로 피드백한다. (공동 수업디자인 모임) 외부 강사를 모셔서 연수를 하거나 저자와의 만남 시간을 가진다.(연수) 기타 (자세히:
% % % % % %
전체 732 446 (60.9) 170 (23.2) 242 (33.1) 160 (21.9) 205 (28.0) 25 (3.4)
학교급 유치원 11 9 (81.8) 3 (27.3) 8 (72.7) 1 (9.1) 2 (18.2) 1 (9.1)
초등학교 407 257 (63.1) 105 (25.8) 96 (23.6) 68 (16.7) 118 (29.0) 15 (3.7)
중학교 194 111 (57.2) 33 (17.0) 105 (54.1) 76 (39.2) 36 (18.6) 6 (3.1)
고등학교 116 67 (57.8) 29 (25.0) 31 (26.7) 15 (12.9) 47 (40.5) 3 (2.6)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1 (33.3) 0 (.0) 1 (33.3) 0 (.0) 2 (66.7) 0 (.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1 (100.0) 0 (.0) 1 (100.0) 0 (.0) 0 (.0) 0 (.0)
설립구분 국공립 708 433 (61.2) 166 (23.4) 235 (33.2) 155 (21.9) 197 (27.8) 24 (3.4)
사립 24 13 (54.2) 4 (16.7) 7 (29.2) 5 (20.8) 8 (33.3) 1 (4.2)
직위 학교관리자(교장,교감) 45 22 (48.9) 8 (17.8) 17 (37.8) 10 (22.2) 13 (28.9) 3 (6.7)
수석교사 4 1 (25.0) 1 (25.0) 2 (50.0) 1 (25.0) 3 (75.0) 0 (.0)
부장교사 252 173 (68.7) 57 (22.6) 88 (34.9) 62 (24.6) 66 (26.2) 11 (4.4)
교사 422 245 (58.1) 102 (24.2) 133 (31.5) 85 (20.1) 121 (28.7) 11 (2.6)
교육전문직 9 5 (55.6) 2 (22.2) 2 (22.2) 2 (22.2) 2 (22.2) 0 (.0)
근무경력 5년 미만 92 62 (67.4) 17 (18.5) 28 (30.4) 15 (16.3) 21 (22.8) 1 (1.1)
5-14 167 113 (67.7) 37 (22.2) 56 (33.5) 39 (23.4) 49 (29.3) 6 (3.6)
15-24 274 165 (60.2) 69 (25.2) 92 (33.6) 58 (21.2) 84 (30.7) 7 (2.6)
25년 이상 199 106 (53.3) 47 (23.6) 66 (33.2) 48 (24.1) 51 (25.6) 11 (5.5)

수업을 주제로 하는 전문적학습공동체의 경우 수업수다 > 수업 나눔 > 연수 > 독서토론 > 수업디자인 순으로 결과가 나왔다. 모든 보기가 20% 이상의 응답을 보인 것은 다양한 형태의 운영이 골고루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앞선 설문 문항들의 응답에서 중학교 그룹에서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부정적 응답의 비율이 높았던 것에 비해 수업 나눔과 수업디자인 활동의 응답 비율이 높은 이유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Q7_2> 수업 이외의 주제로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경우, 어떠한 주제로 진행하고 있습니까?

  사례수 교육과정연구모임 (교육과정 관련 책을 읽고, 실제 교육과정 재구성이나 교육과정 개발을 진행하고 실천함) 생활지도연구모임
(회복적 생활교육이나 비폭력대화, 긍정적 행동 강화지원 등 생활지도 관련 책을 읽고 실천 경험을 나눔)
교육정책연구모임 (교육정책이나 이슈에 대한 책을 읽고 토론하면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함) 기타 (자세히:
% % % %
전체 732 325 (44.4) 379 (51.8) 70 (9.6) 84 (11.5)
학교급 유치원 11 8 (72.7) 5 (45.5) 1 (9.1) 1 (9.1)
초등학교 407 197 (48.4) 206 (50.6) 41 (10.1) 49 (12.0)
중학교 194 68 (35.1) 115 (59.3) 14 (7.2) 19 (9.8)
고등학교 116 49 (42.2) 52 (44.8) 14 (12.1) 15 (12.9)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3 (100.0) 0 (.0) 0 (.0) 0 (.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0 (.0) 1 (100.0) 0 (.0) 0 (.0)
설립구분 국공립 708 314 (44.4) 371 (52.4) 65 (9.2) 79 (11.2)
사립 24 11 (45.8) 8 (33.3) 5 (20.8) 5 (20.8)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45 22 (48.9) 26 (57.8) 10 (22.2) 2 (4.4)
수석교사 4 1 (25.0) 3 (75.0) 0 (.0) 0 (.0)
부장교사 252 113 (44.8) 117 (46.4) 14 (5.6) 38 (15.1)
교사 422 184 (43.6) 228 (54.0) 44 (10.4) 44 (10.4)
교육전문직 9 5 (55.6) 5 (55.6) 2 (22.2) 0 (.0)
근무경력 5년 미만 92 41 (44.6) 48 (52.2) 9 (9.8) 8 (8.7)
5-14 167 70 (41.9) 91 (54.5) 18 (10.8) 20 (12.0)
15-24 274 135 (49.3) 131 (47.8) 19 (6.9) 32 (11.7)
25년 이상 199 79 (39.7) 109 (54.8) 24 (12.1) 24 (12.1)

수업 이외의 주제에서는 생활지도 관련 > 교육과정 연구 > 교육정책 연구 순으로 결과가 나왔다. 학교급별로 전반적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이나 중학교에서 생활지도 연구모임의 응답 비율이 약간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유치원이나 특수 및 각종 기타학교에서는 교육과정 연구모임의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8)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시 의사결정 방법

 

<Q8>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시 의사결정 방법은 어떠합니까?

 
  사례수 누구나 의견을 낼 수 있고, 민주적으로 의사결정을 진행함 경력이 많은 구성원의 의견이나 영향력이 큰 구성원에 의해 결정함 리더의 의견에 따라 결정하는 경우가 많음 소속 기관 관리자의 의견에 따라 결정함 기타 (자세히:
% % % % % %
전체 732 659 (90.0) 18 (2.5) 41 (5.6) 13 (1.8) 1 (.1) 732 (100.0)
학교급 유치원 11 11 (100.0) 0 (.0) 0 (.0) 0 (.0) 0 (.0) 11 (100.0)
초등학교 407 369 (90.7) 7 (1.7) 23 (5.7) 8 (2.0) 0 (.0) 407 (100.0)
중학교 194 170 (87.6) 7 (3.6) 12 (6.2) 4 (2.1) 1 (.5) 194 (100.0)
고등학교 116 106 (91.4) 3 (2.6) 6 (5.2) 1 (.9) 0 (.0) 116 (100.0)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2 (66.7) 1 (33.3) 0 (.0) 0 (.0) 0 (.0) 3 (100.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1 (100.0) 0 (.0) 0 (.0) 0 (.0) 0 (.0) 1 (100.0)
설립구분 국공립 708 641 (90.5) 17 (2.4) 36 (5.1) 13 (1.8) 1 (.1) 708 (100.0)
사립 24 18 (75.0) 1 (4.2) 5 (20.8) 0 (.0) 0 (.0) 24 (100.0)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45 41 (91.1) 2 (4.4) 2 (4.4) 0 (.0) 0 (.0) 45 (100.0)
수석교사 4 3 (75.0) 0 (.0) 1 (25.0) 0 (.0) 0 (.0) 4 (100.0)
부장교사 252 228 (90.5) 5 (2.0) 17 (6.7) 2 (.8) 0 (.0) 252 (100.0)
교사 422 380 (90.0) 10 (2.4) 20 (4.7) 11 (2.6) 1 (.2) 422 (100.0)
교육전문직 9 7 (77.8) 1 (11.1) 1 (11.1) 0 (.0) 0 (.0) 9 (100.0)
근무경력 5년 미만 92 81 (88.0) 3 (3.3) 5 (5.4) 3 (3.3) 0 (.0) 92 (100.0)
5-14 167 145 (86.8) 5 (3.0) 13 (7.8) 4 (2.4) 0 (.0) 167 (100.0)
15-24 274 251 (91.6) 6 (2.2) 13 (4.7) 4 (1.5) 0 (.0) 274 (100.0)
25년 이상 199 182 (91.5) 4 (2.0) 10 (5.0) 2 (1.0) 1 (.5) 199 (100.0)

누구나 의견을 낼 수 있고 민주적으로 의사가 결정된다는 응답이 90%로 나타났고, 학교급별로도 큰 차이가 없다. 리더의 결정에 따르거나 영향력이 큰 소수의 구성원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는 비율은 예상에 비해 매우 낮은 응답을 나타냈다.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에 있어 민주적 의사결정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9)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시 문제점

 

<Q9>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시 문제점은 구체적으로 무엇입니까?

  사례수 바쁜 업무로 인한 심리적인 여유 부족 쉽지 않은 활동 시간 확보 자율성 부족 및 활동 주제나 방식의 제약 번거로운 예산 사용 구성원들과의 소통과 관계 형성의 어려움 활동 공간 부족 구성원 간 활동 목적과 방법 인식 차이로 인한 갈등 기타 (자세히:
% % % % % % % %
전체 732 497 (67.9) 449 (61.3) 105 (14.3) 151 (20.6) 23 (3.1) 63 (8.6) 44 (6.0) 10 (1.4)
학교급 유치원 11 7 (63.6) 2 (18.2) 1 (9.1) 7 (63.6) 1 (9.1) 1 (9.1) 0 (.0) 1 (9.1)
초등학교 407 265 (65.1) 245 (60.2) 56 (13.8) 99 (24.3) 9 (2.2) 38 (9.3) 18 (4.4) 6 (1.5)
중학교 194 151 (77.8) 120 (61.9) 30 (15.5) 22 (11.3) 9 (4.6) 12 (6.2) 19 (9.8) 3 (1.5)
고등학교 116 71 (61.2) 80 (69.0) 18 (15.5) 21 (18.1) 4 (3.4) 12 (10.3) 7 (6.0) 0 (.0)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2 (66.7) 2 (66.7) 0 (.0) 1 (33.3) 0 (.0) 0 (.0) 0 (.0) 0 (.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1 (100.0) 0 (.0) 0 (.0) 1 (100.0) 0 (.0) 0 (.0) 0 (.0) 0 (.0)
설립구분 국공립 708 486 (68.6) 433 (61.2) 98 (13.8) 146 (20.6) 20 (2.8) 59 (8.3) 40 (5.6) 10 (1.4)
사립 24 11 (45.8) 16 (66.7) 7 (29.2) 5 (20.8) 3 (12.5) 4 (16.7) 4 (16.7) 0 (.0)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45 30 (66.7) 30 (66.7) 6 (13.3) 5 (11.1) 0 (.0) 3 (6.7) 3 (6.7) 1 (2.2)
수석교사 4 3 (75.0) 3 (75.0) 1 (25.0) 1 (25.0) 1 (25.0) 0 (.0) 0 (.0) 0 (.0)
부장교사 252 193 (76.6) 156 (61.9) 37 (14.7) 54 (21.4) 10 (4.0) 14 (5.6) 20 (7.9) 2 (.8)
교사 422 267 (63.3) 255 (60.4) 60 (14.2) 90 (21.3) 11 (2.6) 43 (10.2) 21 (5.0) 7 (1.7)
교육전문 9 4 (44.4) 5 (55.6) 1 (11.1) 1 (11.1) 1 (11.1) 3 (33.3) 0 (.0) 0 (.0)
근무경력 5년 미만 92 55 (59.8) 50 (54.3) 13 (14.1) 21 (22.8) 1 (1.1) 12 (13.0) 4 (4.3) 0 (.0)
5-14 167 108 (64.7) 100 (59.9) 29 (17.4) 42 (25.1) 6 (3.6) 16 (9.6) 10 (6.0) 4 (2.4)
15-24 274 203 (74.1) 175 (63.9) 34 (12.4) 60 (21.9) 9 (3.3) 19 (6.9) 16 (5.8) 3 (1.1)
25년 이상 199 131 (65.8) 124 (62.3) 29 (14.6) 28 (14.1) 7 (3.5) 16 (8.0) 14 (7.0) 3 (1.5)

바쁜 업무로 인한 심리적 여유 부족(67.9%)과 활동 시간 확보의 어려움(61.3%)이 공통적으로 가장 큰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63.6%)과 초등학교(23.3%)에서는 예산 사용의 어려움이 있다는 응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중학교에서는 구성원간 활동 목적과 방법 차이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는 응답(9.8%)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10)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에 필요한 지원

 

<Q10-1> 학교차원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사례수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과 학교 교육과정 운영 간 직접적 연계 교사가 관심 있는 주제로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 자발적 참여 보장 분위기 조성 및 미참여자에 대한 적극적인 권유 실질적 활동 시간 확보 전문적학습공동체 공간 확보 기타 (자세히:
% % % % % % %
전체 732 82 (11.2) 171 (23.4) 94 (12.8) 352 (48.1) 13 (1.8) 20 (2.7) 732 (100.0)
학교급 유치원 11 1 (9.1) 5 (45.5) 2 (18.2) 3 (27.3) 0 (.0) 0 (.0) 11 (100.0)
초등학교 407 41 (10.1) 94 (23.1) 53 (13.0) 196 (48.2) 11 (2.7) 12 (2.9) 407 (100.0)
중학교 194 25 (12.9) 47 (24.2) 21 (10.8) 92 (47.4) 1 (.5) 8 (4.1) 194 (100.0)
고등학교 116 14 (12.1) 23 (19.8) 18 (15.5) 60 (51.7) 1 (.9) 0 (.0) 116 (100.0)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1 (33.3) 2 (66.7) 0 (.0) 0 (.0) 0 (.0) 0 (.0) 3 (100.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0 (.0) 0 (.0) 0 (.0) 1 (100.0) 0 (.0) 0 (.0) 1 (100.0)
설립구분 국공립 708 80 (11.3) 164 (23.2) 89 (12.6) 342 (48.3) 13 (1.8) 20 (2.8) 708 (100.0)
사립 24 2 (8.3) 7 (29.2) 5 (20.8) 10 (41.7) 0 (.0) 0 (.0) 24 (100.0)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45 11 (24.4) 6 (13.3) 7 (15.6) 18 (40.0) 0 (.0) 3 (6.7) 45 (100.0)
수석교사 4 2 (50.0) 0 (.0) 0 (.0) 2 (50.0) 0 (.0) 0 (.0) 4 (100.0)
부장교사 252 28 (11.1) 54 (21.4) 36 (14.3) 124 (49.2) 4 (1.6) 6 (2.4) 252 (100.0)
교사 422 40 (9.5) 111 (26.3) 44 (10.4) 207 (49.1) 9 (2.1) 11 (2.6) 422 (100.0)
교육전문직 9 1 (11.1) 0 (.0) 7 (77.8) 1 (11.1) 0 (.0) 0 (.0) 9 (100.0)
근무경력 5년 미만 92 8 (8.7) 18 (19.6) 16 (17.4) 49 (53.3) 1 (1.1) 0 (.0) 92 (100.0)
5-14 167 13 (7.8) 43 (25.7) 24 (14.4) 77 (46.1) 1 (.6) 9 (5.4) 167 (100.0)
15-24 274 30 (10.9) 64 (23.4) 34 (12.4) 135 (49.3) 6 (2.2) 5 (1.8) 274 (100.0)
25년 이상 199 31 (15.6) 46 (23.1) 20 (10.1) 91 (45.7) 5 (2.5) 6 (3.0) 199 (100.0)

학교 차원에서의 지원에 대해 전체적으로는 실질적 시간 확보 > 교사가 관심있는 주제로 구성 > 자발적 참여 보장 분위기 조성 및 미참여자에 대한 적극적인 권유 순으로 필요한 지원이라고 응답되었다. 급별로는 큰 차이가 없다.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의 내실있는 운영을 위해서는 시간 확보가 최우선임을 여러 설문의 응답을 통해 확인할 수 있.

 

<Q10-2> 교육청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사례수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시간 직무 시간 인정 예산 사용 행정 절차 간소화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지원 예산 증가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리더 양성 과정 연수 및 워크샵 마련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우수사례 및 성과물 공유 기타 (자세히:
% % % % % % %
전체 787 258 (32.8) 257 (32.7) 163 (20.7) 47 (6.0) 34 (4.3) 28 (3.6) 787 (100.0)
학교급 유치원 18 2 (11.1) 9 (50.0) 1 (5.6) 2 (11.1) 1 (5.6) 3 (16.7) 18 (100.0)
초등학교 441 131 (29.7) 166 (37.6) 100 (22.7) 17 (3.9) 16 (3.6) 11 (2.5) 441 (100.0)
중학교 200 79 (39.5) 41 (20.5) 38 (19.0) 23 (11.5) 6 (3.0) 13 (6.5) 200 (100.0)
고등학교 124 45 (36.3) 39 (31.5) 23 (18.5) 5 (4.0) 11 (8.9) 1 (.8) 124 (100.0)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1 (33.3) 1 (33.3) 1 (33.3) 0 (.0) 0 (.0) 0 (.0) 3 (100.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0 (.0) 1 (100.0) 0 (.0) 0 (.0) 0 (.0) 0 (.0) 1 (100.0)
설립구분 국공립 761 247 (32.5) 251 (33.0) 157 (20.6) 44 (5.8) 34 (4.5) 28 (3.7) 761 (100.0)
사립 26 11 (42.3) 6 (23.1) 6 (23.1) 3 (11.5) 0 (.0) 0 (.0) 26 (100.0)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57 12 (21.1) 13 (22.8) 12 (21.1) 14 (24.6) 4 (7.0) 2 (3.5) 57 (100.0)
수석교사 4 4 (100.0) 0 (.0) 0 (.0) 0 (.0) 0 (.0) 0 (.0) 4 (100.0)
부장교사 261 84 (32.2) 97 (37.2) 46 (17.6) 9 (3.4) 10 (3.8) 15 (5.7) 261 (100.0)
교사 453 156 (34.4) 142 (31.3) 101 (22.3) 23 (5.1) 20 (4.4) 11 (2.4) 453 (100.0)
교육전문직 12 2 (16.7) 5 (41.7) 4 (33.3) 1 (8.3) 0 (.0) 0 (.0) 12 (100.0)
근무경력 5년 미만 99 33 (33.3) 25 (25.3) 29 (29.3) 4 (4.0) 8 (8.1) 0 (.0) 99 (100.0)
5-14 182 64 (35.2) 61 (33.5) 33 (18.1) 10 (5.5) 4 (2.2) 10 (5.5) 182 (100.0)
15-24 287 98 (34.1) 99 (34.5) 57 (19.9) 11 (3.8) 11 (3.8) 11 (3.8) 287 (100.0)
25년 이상 219 63 (28.8) 72 (32.9) 44 (20.1) 22 (10.0) 11 (5.0) 7 (3.2) 219 (100.0)

교육청 차원에서의 지원에 대해 전체적으로는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시간 직무 시간 인정 > 예산 사용 행정 절차 간소화 >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지원 예산 증가 순으로 응답되었다.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시간 직무 시간 인정에 있어서 유·초등 보다는 중·고등 학교에서 희망하는 비율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초등에서는 예산 사용 행정 절차의 간소화를 희망하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예산 사용의 어려움이 앞선 설문 결과에서 20%이상 응답되었는데, 예산을 증가해 달라는 요구도 20% 이상인 부분은 학교별로 활동의 차이에 따라 부족하기도 사용이 어렵기도 한 것으로 해석된다. 유치원과 중학교에서는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리더 양성 과정 연수 및 워크숍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10%이상 응답되었다.

(11)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여부 및 만족도

 

<Q11-1> 현재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까?

  사례수 참여하고 있다. 참여하고 있지 않다.
% % %
전체 787 379 (48.2) 408 (51.8) 787 (100.0)
학교급 유치원 18 17 (94.4) 1 (5.6) 18 (100.0)
초등학교 441 204 (46.3) 237 (53.7) 441 (100.0)
중학교 200 94 (47.0) 106 (53.0) 200 (100.0)
고등학교 124 60 (48.4) 64 (51.6) 124 (100.0)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3 (100.0) 0 (.0) 3 (100.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1 (100.0) 0 (.0) 1 (100.0)
설립구분 국공립 761 362 (47.6) 399 (52.4) 761 (100.0)
사립 26 17 (65.4) 9 (34.6) 26 (100.0)
직위 학교관리자(교장, 교감) 57 44 (77.2) 13 (22.8) 57 (100.0)
수석교사 4 4 (100.0) 0 (.0) 4 (100.0)
부장교사 261 125 (47.9) 136 (52.1) 261 (100.0)
교사 453 199 (43.9) 254 (56.1) 453 (100.0)
교육전문직 12 7 (58.3) 5 (41.7) 12 (100.0)
근무경력 5년 미만 99 37 (37.4) 62 (62.6) 99 (100.0)
5-14 182 86 (47.3) 96 (52.7) 182 (100.0)
15-24 287 142 (49.5) 145 (50.5) 287 (100.0)
25년 이상 219 114 (52.1) 105 (47.9) 219 (100.0)

응답자 787명 중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에 379(48.2%)이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유치원의 비율이 높았으며 초중고는 비슷한 비율의 응답을 나타냈다. 학교관리자 그룹이 교사 그룹에 비해 높은 비율로 참석하고 있다는 응답(77.2%)했다. 사립이 공립에 비해 참여 비율이 높다고 응답되었으며, 근무경력 별로는 연차가 높을수록 참여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Q11-2> 현재 참여하고 있는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어떠합니까?

  사례수 매우 만족스럽다. 만족스럽다. 만족스럽지 않다.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 + + 평균
% % % % % % %
전체 379 275 (72.6) 93 (24.5) 8 (2.1) 3 (.8) 368 (97.1) 11 (2.9) 379 (100.0) 3.69
학교급 유치원 17 11 (64.7) 6 (35.3) 0 (.0) 0 (.0) 17 (100.0) 0 (.0) 17 (100.0) 3.65
초등학교 204 160 (78.4) 38 (18.6) 4 (2.0) 2 (1.0) 198 (97.1) 6 (2.9) 204 (100.0) 3.75
중학교 94 62 (66.0) 29 (30.9) 3 (3.2) 0 (.0) 91 (96.8) 3 (3.2) 94 (100.0) 3.63
고등학교 60 38 (63.3) 20 (33.3) 1 (1.7) 1 (1.7) 58 (96.7) 2 (3.3) 60 (100.0) 3.58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3 (100.0) 0 (.0) 0 (.0) 0 (.0) 3 (100.0) 0 (.0) 3 (100.0) 4.0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1 (100.0) 0 (.0) 0 (.0) 0 (.0) 1 (100.0) 0 (.0) 1 (100.0) 4.00
설립구분 국공립 362 267 (73.8) 85 (23.5) 8 (2.2) 2 (.6) 352 (97.2) 10 (2.8) 362 (100.0) 3.70
사립 17 8 (47.1) 8 (47.1) 0 (.0) 1 (5.9) 16 (94.1) 1 (5.9) 17 (100.0) 3.35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44 34 (77.3) 10 (22.7) 0 (.0) 0 (.0) 44 (100.0) 0 (.0) 44 (100.0) 3.77
수석교사 4 4 (100.0) 0 (.0) 0 (.0) 0 (.0) 4 (100.0) 0 (.0) 4 (100.0) 4.00
부장교사 125 94 (75.2) 28 (22.4) 3 (2.4) 0 (.0) 122 (97.6) 3 (2.4) 125 (100.0) 3.73
교사 199 139 (69.8) 52 (26.1) 5 (2.5) 3 (1.5) 191 (96.0) 8 (4.0) 199 (100.0) 3.64
교육전문직 7 4 (57.1) 3 (42.9) 0 (.0) 0 (.0) 7 (100.0) 0 (.0) 7 (100.0) 3.57
근무경력 5년 미만 37 22 (59.5) 14 (37.8) 1 (2.7) 0 (.0) 36 (97.3) 1 (2.7) 37 (100.0) 3.57
5-14 86 64 (74.4) 20 (23.3) 2 (2.3) 0 (.0) 84 (97.7) 2 (2.3) 86 (100.0) 3.72
15-24 142 102 (71.8) 37 (26.1) 2 (1.4) 1 (.7) 139 (97.9) 3 (2.1) 142 (100.0) 3.69
25년 이상 114 87 (76.3) 22 (19.3) 3 (2.6) 2 (1.8) 109 (95.6) 5 (4.4) 114 (100.0) 3.70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의 경우 대부분 자발적 참여에 의해 이루어지는 만큼 매우 만족과 만족의 비율이 97.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모든 학교급별에서 비슷한 응답을 이고 있으나 매우 만족의 비율은 초등에서 타 학교급에 비해 더 높게 응답되었다. 만족도도 참여 여부와 마찬가지로 근무경력이 올라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Q11-3> 만족스러운 경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례수 비전, 목적, 가치, 주제에 대한 충분한 합의와 공유 협력적 학습의 실천과 나눔 과정 인적 네트워크 형성에 따른 정서적인 소속감 증대 및 정서적 안정 해당 주제에 대한 전문성 신장 연구 실천 성과물 공유(연수나 자료집 등) 구성원의 집단 지성 및 개인 리더십 신장 기타 (자세히:
% % % % % % %
전체 368 165 (44.8) 193 (52.4) 155 (42.1) 206 (56.0) 82 (22.3) 74 (20.1) 2 (.5)
학교급 유치원 17 4 (23.5) 10 (58.8) 8 (47.1) 6 (35.3) 2 (11.8) 2 (11.8) 1 (5.9)
초등학교 198 98 (49.5) 101 (51.0) 78 (39.4) 123 (62.1) 52 (26.3) 44 (22.2) 0 (.0)
중학교 91 32 (35.2) 50 (54.9) 38 (41.8) 44 (48.4) 18 (19.8) 16 (17.6) 1 (1.1)
고등학교 58 31 (53.4) 28 (48.3) 30 (51.7) 31 (53.4) 10 (17.2) 12 (20.7) 0 (.0)
특수, 각종, 기타학교 3 0 (.0) 3 (100.0) 0 (.0) 1 (33.3) 0 (.0) 0 (.0) 0 (.0)
교육청 및 직속기관 1 0 (.0) 1 (100.0) 1 (100.0) 1 (100.0) 0 (.0) 0 (.0) 0 (.0)
설립구분 국공립 352 161 (45.7) 183 (52.0) 148 (42.0) 199 (56.5) 79 (22.4) 70 (19.9) 2 (.6)
사립 16 4 (25.0) 10 (62.5) 7 (43.8) 7 (43.8) 3 (18.8) 4 (25.0) 0 (.0)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44 27 (61.4) 20 (45.5) 23 (52.3) 20 (45.5) 4 (9.1) 13 (29.5) 0 (.0)
수석교사 4 2 (50.0) 4 (100.0) 2 (50.0) 4 (100.0) 2 (50.0) 2 (50.0) 0 (.0)
부장교사 122 52 (42.6) 65 (53.3) 48 (39.3) 75 (61.5) 33 (27.0) 24 (19.7) 2 (1.6)
교사 191 84 (44.0) 101 (52.9) 79 (41.4) 106 (55.5) 42 (22.0) 34 (17.8) 0 (.0)
교육전문직 7 0 (.0) 3 (42.9) 3 (42.9) 1 (14.3) 1 (14.3) 1 (14.3) 0 (.0)
근무경력 5년 미만 36 14 (38.9) 11 (30.6) 14 (38.9) 10 (27.8) 5 (13.9) 4 (11.1) 0 (.0)
5-14 84 36 (42.9) 50 (59.5) 42 (50.0) 50 (59.5) 23 (27.4) 21 (25.0) 1 (1.2)
15-24 139 60 (43.2) 79 (56.8) 56 (40.3) 88 (63.3) 39 (28.1) 29 (20.9) 1 (.7)
25년 이상 109 55 (50.5) 53 (48.6) 43 (39.4) 58 (53.2) 15 (13.8) 20 (18.3) 0 (.0)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가 만족스러운 이유로 해당 주제에 대한 전문성 신장(56%) > 협력적 학습의 실천과 나눔 과정(52.4%) > 비전, 목적, 가치, 주제에 대한 충분한 합의와 공유(44.8%) > 인적 네트워크 형성에 따른 정서적인 소속감 증대 및 정서적 안정(42.1%) 순으로 응답되었다.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가 공동체성과 관계에서 오는 만족감이 가장 큰 것으로 응답된 것에 비해 교간형은 해당 주제의 전문성 신장이 가장 큰 이유라고 응답된 부분은 주목할만 하다. 모든 설문 문항에 20%이상 응답된 것은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분석된다.

<Q11-4>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례수 회원 간의 갈등 또는 소통의 어려움 해당 주제에 대한 전문성 신장 효과 미미 구성원들의 수동적인 참여 참여 시간 부족 예산 지원 부족
% % % % % %
전체 11 1 (9.1) 2 (18.2) 2 (18.2) 5 (45.5) 1 (9.1) 11 (100.0)
학교급 초등학교 6 1 (16.7) 1 (16.7) 1 (16.7) 3 (50.0) 0 (.0) 6 (100.0)
중학교 3 0 (.0) 1 (33.3) 1 (33.3) 1 (33.3) 0 (.0) 3 (100.0)
고등학교 2 0 (.0) 0 (.0) 0 (.0) 1 (50.0) 1 (50.0) 2 (100.0)
설립구분 국공립 10 1 (10.0) 2 (20.0) 2 (20.0) 5 (50.0) 0 (.0) 10 (100.0)
사립 1 0 (.0) 0 (.0) 0 (.0) 0 (.0) 1 (100.0) 1 (100.0)
직위 부장교사 3 0 (.0) 1 (33.3) 0 (.0) 2 (66.7) 0 (.0) 3 (100.0)
교사 8 1 (12.5) 1 (12.5) 2 (25.0) 3 (37.5) 1 (12.5) 8 (100.0)
근무경력 5년 미만 1 1 (100.0) 0 (.0) 0 (.0) 0 (.0) 0 (.0) 1 (100.0)
5-14 2 0 (.0) 0 (.0) 1 (50.0) 1 (50.0) 0 (.0) 2 (100.0)
15-24 3 0 (.0) 1 (33.3) 0 (.0) 2 (66.7) 0 (.0) 3 (100.0)
25년 이상 5 0 (.0) 1 (20.0) 1 (20.0) 2 (40.0) 1 (20.0) 5 (100.0)

응답자 수가 11명으로 매우 적어 유의미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어렵다.

<Q11-5> 현재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례수 교내형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만족으로 추가적인 전문적학습공동체 가입 불필요 관심은 있으나 타 학교로 출장이 어려움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에 대한 예산 및 행정 지원 부족 관심있는 주제의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가 없음 기타 (자세히:
% % % % %
전체 408 97 (23.8) 218 (53.4) 20 (4.9) 84 (20.6) 44 (10.8)
학교급 유치원 1 1 (100.0) 0 (.0) 0 (.0) 1 (100.0) 0 (.0)
초등학교 237 57 (24.1) 134 (56.5) 12 (5.1) 50 (21.1) 16 (6.8)
중학교 106 29 (27.4) 53 (50.0) 3 (2.8) 24 (22.6) 13 (12.3)
고등학교 64 10 (15.6) 31 (48.4) 5 (7.8) 9 (14.1) 15 (23.4)
설립구분 국공립 399 97 (24.3) 213 (53.4) 19 (4.8) 83 (20.8) 40 (10.0)
사립 9 0 (.0) 5 (55.6) 1 (11.1) 1 (11.1) 4 (44.4)
직위 학교관리자
(교장, 교감)
13 2 (15.4) 5 (38.5) 4 (30.8) 3 (23.1) 2 (15.4)
부장교사 136 34 (25.0) 80 (58.8) 2 (1.5) 23 (16.9) 19 (14.0)
교사 254 59 (23.2) 133 (52.4) 13 (5.1) 57 (22.4) 22 (8.7)
교육전문직 5 2 (40.0) 0 (.0) 1 (20.0) 1 (20.0) 1 (20.0)
근무경력 5년 미만 62 14 (22.6) 31 (50.0) 1 (1.6) 26 (41.9) 3 (4.8)
5-14 96 26 (27.1) 43 (44.8) 5 (5.2) 19 (19.8) 13 (13.5)
15-24 145 28 (19.3) 90 (62.1) 4 (2.8) 23 (15.9) 18 (12.4)
25년 이상 105 29 (27.6) 54 (51.4) 10 (9.5) 16 (15.2) 10 (9.5)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관심은 있으나 타학교로 출장이 어렵다는 응답이 53.4%로 가장 많았다. 교내형으로 충분하다는 의견이 23.8%인 것은 교내형 운영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이라면 충분히 의미있는 응답이라 분석된다. 관심있는 주제의 전문적학습공동체가 없다는 응답이 20% 이상인 것은 교육청에서 고민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된다. 수요 조사를 통해 교간형 전문적학습공동체 개설을 지원하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