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혁신

배움이 가르침보다 중요하다?

by 김현섭 2013. 3. 8.

전통적인 교육학에서는 가르침을 강조하고 상대적으로 배움을 간과한 측면이 있습니다. 전통적인 객관주의 입장에서는 객관적인 지식이 존재하고 교사는 지식의 권위자이며 전달자이고 학생은 교사의 가르침을 받아야 할 대상으로만 이해합니다. 그러다보니 수업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서 교사의 가르침 행위를 중심으로 접근했습니다. 그런데 교사의 가르침에만 초점을 두다 보니 자연스럽게 학습 과정에 있어서 학생의 역할은 교사의 가르침 대상 정도로만 이해했습니다.

한편 교육을 ‘바람직한 행동의 변화’로 정의한다면 수업의 성공 여부는 교사의 가르침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배움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업 시간에 교사가 무엇을 가르쳤는지 진도를 어느 정도 나갔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무엇을 배웠고 무엇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배움이 가르침에 우선합니다. 하지만 배움을 너무 강조하다보면 강조의 오류에 빠질 수 있습니다. 배움이 수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긴 하지만 배움이 수업의 전부일 수는 없습니다. 교실에서 배움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의도한 수업 목표대로 배움이 일어날 수도 있고 수업 목표와 상관없이 잠재적 교육과정처럼 배움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의도하지 않은 배움은 좋은 배움도 있을 수 있고 나쁜 배움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사가 도덕 시간에 사회 정의가 중요하다고 가르쳤지만 학생은 그래도 돈이 최고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교육에서 배움은 의도하지 않은 배움보다는 의도한 배움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확인하고 접근하는 것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의도하지 않은 배움을 무시하자는 것이 아니라 의도한 대로 진정한 배움이 일어났는지에 초점을 두어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배움은 교사의 수업 디자인 안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자기주도적 학습도 교사가 학생들을 방치해서 이루어지는 배움이 아니라 교사의 계획 안에서 학생들의 자발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배움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수업에서 가르침과 배움은 둘 다 강조되어야 합니다. 수업 안에서 가르침과 배움은 씨줄과 날줄과 같은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전통적 접근은 가르침만을 강조하다 보니 배움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학생들의 배움을 강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배움만을 강조하고 가르침을 경시여기는 것은 또 다른 오류에 빠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