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확한 정답이 하나만 있도록 해야 한다.
예) 선생님에 대한 예절로서 바람직한 것은?
① 먼저 인사한다. ② 한 손으로 물건을 건넨다.
③ 늘 90도로 인사한다. ④ 선생님이 말씀하실 때 경청하지 않는다.
⇒ ① 화난 표정으로 인사한다.
② 가벼운 물건도 가급적 두 손으로 물건을 건넨다.
③ 늘 90도로 인사한다.
④ 선생님이 말씀하실 때 경청하지 않는다.
2. 모든 오답을 그럴 듯해야 한다.
예) 다음 중 채소에 해당하는 것은?
① 복숭아 ② 코스모스 ③ 벼 ④ 토마토
⇒ 다음 중 채소에 해당하는 것은?
① 복숭아 ② 사과 ③ 배 ④ 토마토
3. 가급적 부정문을 사용하지 말고 긍정문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 다음 중 국가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주권 ② 국민 ③ 영토 ④ 군대
⇒ 다음 보기 중 국가의 구성 요소를 모두 고르시오.
[보기] (가) 주권 (나) 국민 (다) 영토 (라) 군대 |
① (가), (나) ② (가), (나), (라) ③ (가), (나), (라) ④ (가), (나), (다), (라)
4. 불가피하게 부정문을 사용하는 경우, 부정문에 밑줄을 긋는다.
-예) 다음 보기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 다음 보기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5. 모두 맞거나 틀린 보기를 제시하지 않도록 한다.
-예) 다음 중 아시아 국가를 모두 고르시오.
① 중국 ② 일본 ③ 베트남 ④ 몽고 ⑤ 인도
6. 정답을 2개 이상을 고르게 할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 밑줄을 긋는다.
-예) 다음 보기 중 축구와 관련된 용어 2가지를 고르면?
7. 문장 안에 인용된 문장은 “ “, 인용 어구는 ‘ ‘로 표시한다.
-예)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난 존재한다"
공리주의에서는 ‘최대 대수의 최대 행복'을 강조한다.
8. ‘다음’보다는 좀 더 세부적으로 ‘그림’, ‘표’, ‘보기’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예) 다음에서 알수 있는 것은?
⇒다음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은?
9. 문항별 차등 점수는 문항 끝에 표시한다.
-예) 다음 공리주의에 대한 설명 중 바람직한 것은? (1.5점)
객관식 평가 문항을 검토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통해 점검해 보는 것이 좋다.
◾ 교육과정의 범위를 벗어난 문항은 아닌가?
◾ 출제 원칙에 맞게 출제되었는가?
◾ 이원목적분류표에 맞게 출제되었는가?
◾ 지나치게 어렵거나 쉽지 않은가?
◾ 문항 풀이 시간이 적절한가?
◾ 문항 간에 직접적인 단서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가?
◾ 오답 시비 내지 다수 정답 가능성은 없는가?
◾ 답지의 길이는 대체로 비슷한가?
◾ 정답의 위치가 특정 번호에 몰려 있는가? 등
일반적으로 좋은 평가 문항의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 문항에서 요구하는 능력이 평가 목표와 일치해야 함
◾ 문항이 모호하지 않고 구조화될 수 있어야 하며, 문항의 발문과 답지의 내용이 간결하고 명확해야 함
◾ 상대 평가의 경우, 문항의 난도를 적절히 조절해야 함
◾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참신해야 함
'수업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이 살아있는 수업기술" 단행본 출간!!! (0) | 2017.09.29 |
---|---|
수업토크쇼(수업나눔) 진행 시나리오 (0) | 2017.06.20 |
첫 수업, 어떻게 시작할까? (7) | 2017.02.24 |
왜 공부를 하는가? (14) | 2017.01.13 |
수업 대화시 꼭 피해야할 9가지 표현들 (0) | 2017.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