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독교대안학교14

교회 주일학교의 위기,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교회 주일학교 학생들이 줄어들고 있다. 주일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생 감소 현상은 생각보다 심각하다. 이러한 현상에는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있다. 원인을 분석해보면, 일단 전체 인구수 감소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구 통계를 살펴보면 1971년생의 경우, 그해 약 102만명이 태어났지만, 작년 2024년 출생아는 약 24만명에 불과하다. 50대 중반 성인을 기준으로 작년에 태어난 아이들이 1/4밖에 안된다는 것이다. 5년 뒤 초등학생 감소율은 –34%이다. 쉽게 5년 후에는 1/3 정도가 줄어든다는 것이고, 10년 뒤 1/2 정도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게다가 지역격차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서 수도권 인구와 비수도권 인구 격차가 자꾸 벌어지고 있다. 2020년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초월했고, .. 2025. 3. 11.
기독대안학교에서 고교 학점제를 어떻게 운영하면 좋을까? 고교 학점제고교학점제란 대학의 학점제(credit system)를 고교에 도입해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교실을 다니며 수업을 듣고, 누적된 학점이 일정한 기준에 도달하면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이다. 대학 학점제와의 차이점은 진로가 어느 정도 결정된 대학생과 달리 진로가 결정되지 않은 고교생들에게 적용해야 하기에 과목 선택권이 좀 더 자유로워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공강 발생 시 학생 생활지도가 쉽지 않다는 것이고, 대학의 경우, 학점 미달시 재수강을 하도록 하고, 학점을 채우지 못하고 학기를 추가로 들어야 하지만 고교의 경우, 그렇게 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고교 학점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학생들의 특성과 성향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다. ∎ 진로중심 교육과정학.. 2025. 2. 12.
미래를 준비하는 기독대안학교운동 미래(未來)? 미래란 다가올 시간이다. 가만히 앉아서 시간을 기다려서 미래를 맞이할 수도 있겠지만, 미래를 어느 정도 예측하고 그에 맞게 준비하면, 그동안의 노력만큼의 미래를 현실로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인간이 열심히 노력한다고 해서 예측한 대로 미래가 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미래는 변동 가능하고, 불확실하고, 모호하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현재와 미래를 비교해서 A미래가 지금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생기면 대충 대충 현재를 살아갈 수 있다. 왜냐하면 어차피 세상은 더 좋아질 것이기에 열심히 노력하지 않아도 미래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현재와 미래를 비교해서 비슷할 것이라고 예상된다면, 현실에 충실하면 될 것이다. 현재가 쌓여 장차 미래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 2024. 1. 4.
미래교육을 위한 전환학교? 미래학교? ‘미래’라는 단어는 ‘지금의 시간으로부터의 그 이후’로서 과거-현재-미래는 연속선 상에서 이해하는 개념이다. 먼 미래는 쉽지 않지만 가까운 미래는 현재를 분석함으로서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올해 출생아가 예전보다 줄었다면 앞으로 학생수가 감소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환경 오염과 자원 고갈, 기후 위기 현상이 나타났다면 앞으로 미래에는 이러한 현상이 현재보다 심화될 수 있기에 이에 맞는 대비책을 미리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보다 미래가 더 나아지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예측된다면 기존 방식대로 현재에 충실하게 살아가는 것이 최선의 미래 대비책이 될 것이다. 하지만 미래가 현재보다 더 힘들어질 것으로 예측된다면, 그에 맞는 새로운 차원의 대비책이 필요할 것이.. 2022. 8. 18.
Jump-Up, 기독대안학교!!! 공교육의 대안교육화? 대안교육의 공교육화? 최근 학생수 감소 현상은 일반 교육계 뿐 아니라 기독대안학교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한쪽에서는 지금도 새로운 기독대안학교들이 생기고 있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학생들을 더 이상 모집하기 힘들어서 기독대안학교들이 사라지기도 한다. 지금까지 기독대안학교들은 신앙과 앎과 삶의 일치를 추구하면서 기독교세계관을 바탕으로 교과를 재해석하고 수업을 진행했고, 교사들의 헌신과 열정 등을 통해 많은 아이들을 변화시켜왔다. 신앙을 기반으로 자녀에게 전인교육, 개별화 교육을 하고자 하는 기독학부모들에게 좋은 대안으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하지만 최근 기독대안학교들의 현실적인 상황을 살펴보면 학생수 감소 현상 뿐 아니라 기독대안학교들간의 경쟁 체제와 개학교주의로 인한 폐쇄.. 2022. 5. 1.
그렇다면 큐티 나눔을 어떻게 할 것인가? 큐티를 풍성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할까? 일단 기독 교사가 성경을 해석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교사가 성경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해석학적인 접근 태도가 필요하다. 첫째, 성경 저술 당시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2-3천년 전에 서술된 성경을 그 당시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고 바로 현재의 관점에서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것은 성경을 잘못 해석할 가능성이 높다. 자칫 교조주의나 근본주의 입장, 이단 등으로 흐를 수 있다. 일단 해당 성경 본문 당시의 시대적, 문화적 배경을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사마리아 여인이 대낮에 마을 우물에서 물을 길러가는 장면은 당시 고대 이스라엘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을 이해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2015. 3. 9.
큐티 교재를 버려야 제대로 큐티를 진행할 수 있다?! 청소년들이 큐티 시간에 잘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는? 기독 교사들은 교회나 학교에서 학생들과 큐티 나눔을 진행할 때가 많이 있다. 큐티를 진행할 때 성경 본문만 가지고 하기에는 교사 입장에서는 다소 부담스럽기 때문에 시중에 나와있는 청소년 큐티 교재를 가지고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 큐티 교재는 성경 본문이 쉬운 성경으로 되어 있고 묵상 순서대로 편집되어 있어서 활용하기 좋다. 즉, 청소년 큐티 교재를 분석해 보면 대개 [제목] - [성경읽기] – [도움말] – [이해하기] – [적용하기] – [기록하기] – [기도하기] 등의 순서와 코너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디자인이 예쁘고 캐릭터가 등장하고 빈칸도 적절하게 있어서 활용하기 좋다. 하지만 청소년 큐티 교재를 활용하여 직접 인도해보거나 다른 교사들이 .. 2015. 3. 9.
소명학교 백두산 비전트립 나머지 사진들 소명학교 백두산 비전 트립 사진들을 올립니다. 참고하세요. 2013. 5. 11.
나머지 소명학교 11학년 백두산 비전트립 사진들 지난 일주일동안 진행되었던 소명학교 11학년 비전트립 관련 사진들을 올립니다. 참고하세요. 2013.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