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수업코칭 프로그램 안내]
1. 수업코칭이란?
▪ 수업 성찰의 과정을 통해 수업자가 스스로 자기 수업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2. 수업코칭과 기존 수업 장학, 수업 컨설팅과의 차이점
▪ 수업코칭 – 수업자가 스스로 자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직면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 문제 해결의 열쇠는 수업자가 가지고 있음, 수업자 중심 피드백
▪ 수업장학 – 수업 장학자가 수업자에게 자기의 수업 평가 기준에 따라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 수업 장학자 중심 피드백
▪ 수업컨설팅 - 의뢰인이 자기 수업 문제점에 대하여 수업 전문가가 도움을 요청하여 도움을 받는 것
3. 수업코칭 프로그램 방식
(1) 수업공동체 만들기 연수
▪ 수업공동체 만들기 연수(최소 6시간-15시간)를 전체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나서 1년 동안 집단 코칭 방식으로 수업 강평회를 진행하기
▪ 수업공동체 만들기(수업코칭) 연수 내용
-수업 성찰, 수업 관찰, 수업 코칭, 수업 나눔, 수업 디자인 등
-세부 내용은 “수업 공동체”(2018), “수업을 바꾸다”(2013), “수업성장”(2016),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2015) 단행본 내용을 참고할 것
-9시간 경우 : 수업 성찰(3시간), 수업 관찰(3시간), 수업 코칭(3시간)
-15시간의 경우 : 수업성찰, 수업관찰, 수업코칭, 수업나눔, 수업디자인 등 강의 및 수업코칭 실습 활동
-연수 시간은 학교 측과 협의 후 조정 가능함 (최소 6시간 필요)
◾ 수업 공동체 만들기 연수 프로그램 예시안
회수 | 연수 주제 | 세부 내용 | 시간 |
1 | 내 수업을 낯설게 바라보다 (수업 성찰) |
◾수업성찰의 의미와 방법 ▪수업성장의 의미와 중요성 ◾5가지 코드로 본 수업성찰 ◾수업동영상 분석 및 실습 |
3 |
2 | 수업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수업관찰과 분석) |
◾수업관찰의 쟁점 ◾수업관찰의 방법 ◾수업관찰, 비평, 질문 실습(3단계) |
3 |
3 | 수업 코칭이란 무엇인가? (수업코칭의 이해 및 실습) |
◾수업코칭의 중요성과 의미 ▪수업 단계별 수업코칭의 전략 ◾모둠별 수업코칭 실습 및 피드백 |
3 |
4 | 수업 나눔을 어떻게 할 것인가? (수업 나눔) |
▪수업나눔의 이해 ▪수업 나눔 실습 및 피드백 ▪수업 나눔 활동시 유의사항 |
3 |
5 | 수업 디자인을 어떻게 할 것인가? (수업디자인 실습) |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디자인과 교육과정재구성 ◾수업디자인 실습 및 발표, 피드백 ▪ 수업디자인 모임의 운영과 유의사항 |
3 |
※ 이를 기준으로 연수 주관 기관과 협의하여 세부 조정될 수 있음
(2) 수업나눔 (집단코칭) 활동
▪ 기존 수업 공개 및 강평회를 수업 나눔 방식(집단 코칭)으로 전환하기
▪ 수업 나눔 시간 약 90분 정도 소요
▪ 수업 나눔(집단 코칭)
-칭찬하기 ⇒ 수업자 입장에서 수업 바라보기 ⇒ 학생 배움 입장에서 바라보기 ⇒ 수업자의 고민을 듣기 ⇒ 수업에 대한 고민에 대하여 집단 지성을 이용하여 공동의 해결 방안 모색하기 ⇒ 수업자가 도전과제 선택하기 ⇒ 전문가의 마무리 피드백
▪ 장점 : 기존 수업 공개회 방식 안에서 적용할 수 있음, 간단하게 접근할 수 있음, 학교 안 수업 공동체 문화를 정착하는데 큰 도움이 됨, 비용이 적게 듬
▪ 단점 : 1회적인 접근이라 심도있는 변화를 기대하기 힘듬, 수업자가 많은 교사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개인적인 고민을 털어놓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음
(3) 개별코칭 활동
▪ 개별 코칭이란 수업 코칭을 희망하는 개별 교사가 수업 개별 코칭을 신청하여 진행됨
▪ 최소 2-3회 이상, 1학기 이상을 꾸준히 실시함
◾ 1학기 단위로 진행되는 경우, 3회 정도, 1년 단위로 진행되는 경우, 5-6회 정도 실시 (학기 단위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음)
▪ 필요시 개별 피코칭자를 위한 맞춤형 연수 실시
▪ 필요시 수업동영상 촬영 가능 (촬영비 50만원)
▪ 개별 수업 코칭의 단계
-전체 대상 교사 연수 ⇒ 개별 수업코칭 희망자 신청 ⇒ 해당 피코칭자 수업 참관 ⇒ 3-5회 개별 수업코칭 활동 ⇒ 도전 과제 제시 및 피드백 / 맞춤형 연수 ⇒ 최종 평가회(발표)
▪ 필요시 상담 전문가 연결
▪ 단위 학교 내 수업 멘토 교사 선발 및 수업 멘토링 활동 (추후 단위학교 내 자체적인 수업 나눔 및 수업코칭 활동 가능)
▪ 장점 : 연속적이고 체계적인 수업 코칭이 진행되고 수업 개선의 효과가 큼, 개인적인 수업 고민을 나눌 수 있음
▪ 단점 : 코칭 대상자가 수업자에게 국한됨, 비용 부담
4. 수업코칭단 구성
▪ 해드 코치 : 김현섭 소장 (전 ebs “선생님이 달라졌어요” 수업코치, 교육지원청 및 단위학교 수업코칭 프로그램 수업 코치 및 해드 코치, 현 수업디자인연구소 소장, (사) 교육디자인네트워크 대표, 저서 : “수업 공동체”(2018), “철학이 살아있는 수업”(2017), “수업성장”(2016),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2015), “수업을 바꾸다”(2013), “협동학습 1,2,3”(2012) 등 다수)
◾ 수업디자인연구소 소속 수석연구원, 전문위원 (수석교사 등) 외 다수 수업코치진
5. 주관
▪ 수업디자인연구소
▪ 페북 : https://www.facebook.com/sooupdesign
'수업디자인연구소 및 교육디자인넷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듀코칭: 자기관리, 학습, 진로진학코칭의 실제" 출간!!! (2) | 2024.04.11 |
---|---|
[2024 수업디자인연구소 주관 연수콘텐츠 안내] (0) | 2024.03.12 |
학기초 교실에서 활용하면 좋은 게시판 모음 (0) | 2024.03.12 |
시조짓기 게임(시조 만들기 카드) (0) | 2024.03.12 |
남북한 현대사 공부(히스커버리 게임/한반도 라인) (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