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혁신91

협동학습 단행본 신간 안내 "협동학습 1,2,3" 협동학습 단행본 신간 안내 “한국협동학습연구회에서는 이미 『아이들과 함께 하는 협동학습1, 2』를 출간하여 교육계에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한국협동학습연구회의 연구 성과들을 정리하여 새롭게 『협동학습 1,2,3』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케이건과 존슨, 제이콥스, 정문성 등의 협동학습 연구자들의 성과를 토대로 구성되었습니다. 또한 15개 지역모임과 6개 교과모임으로 이루어진 한국협동학습연구회 선생님들의 고민과 실천 경험을 통해 한국적 상황에 맞는 협동학습에 대해 정리한 것이기도 합니다. 이 책이 수업 혁신에 대하여 고민하는 많은 선생님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소망합니다.” 협동학습1 : 협동학습 기초 다지기 ‘왜 협동학습인가’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하면서 협동학.. 2012. 8. 5.
수업코칭의 개념과 필요성 1. 왜 수업 코칭인가? 교사라면 누구나 수업을 잘하고 싶어한다. 교사의 업무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수업이다. 교사가 수업을 못한다는 것은 교사의 기본적인 자질이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교사라면 누구나 자기 수업을 잘하고 싶어하지만 생각보다 수업을 잘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수업은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로 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교사의 수업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업 공개와 교사 연수가 있다. 최근 교원평가제 실시와 배움의 공동체 운동 등을 통해 수업 공개에 대한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수업 공개 문화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첫째, 수업 공개를 위한 공개로 그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2012. 8. 5.
수업 성찰의 중요성 수업 혁신 모델을 고민하는데 있어서 핵심은 수업 모형이라기보다는 교사의 역량이다. 교사가 자기 수업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교사의 수업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제일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수업 성찰이다. 교사는 자기 수업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들은 기본적으로 자기 수업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편이다. 객관적으로 수업을 잘 못하는 교사라 할지라도 교사 자신은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부심이 높은 편이다. 새내기 교사 시절(초임-5년차 내외)에 교사들은 자기 수업에 대한 스타일이 어느 정도 형성되고 결정된다. 이렇게 형성된 교수 스타일은 교직 생활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기에 좋은 교수 습관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좋은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2012. 5. 21.
교내 연수 방식의 혁신 기존 연수 방식은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수업 혁신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연수는 변화의 계기를 제공할 뿐 변화의 완성을 만들어 주는 것은 아니다. 기존 연수 방식의 한계는 정답을 제시하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정답이 나오는 과정에 대하여 충분히 이야기하지 않고 결과로서의 정답만 제시하기 때문에 교사들에게 부담을 준다. 그리고 정답이라고 제시된 것이 교사가 생각하기에는 정답이 아닐 수도 있다. 수업 연수가 실질적인 수업 혁신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정답을 주는 연수가 아니라 교사 스스로 정답을 찾아가는 연수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연수는 강의, 사례 발표 및 우수 학교 탐방 내지 우수 수업 사례 동영상 보기에 그친다. 이러한 연수 방식은 연수생들에게 강사와 연수생 사이의 거리감만 확인하거나 실.. 2012. 5. 21.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 그리고 변화 수업을 바라보는 여러 가지 관점들 수업의 질을 올리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이 무엇이냐에 대하여 먼저 고민해야 한다. 수업을 혁신하려면 다양한 수업을 많이 보는 것이 필요하다. 공개 수업을 많이 하거나 다른 교사들의 수업을 많이 본다고 해서 수업 혁신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수업을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동일한 수업도 다르게 평가되고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업을 바라보는 기존의 관점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교육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들에는 수업장학, 수업평가, 수업컨설팅, 수업비평, 배움의 공동체, 수업 코칭 등이 있다. 각 입장은 주된 관찰 목적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각 입장의 장단점을 잘 인식하고 교실 현장에서 활용하는 것.. 2012. 5. 21.
수업 혁신이 힘든 7가지 이유 학교 혁신 분야 중 가장 힘든 것이 수업 혁신이다. 수업 혁신이란 말이 부담스럽다면 교사가 왜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가에 대한 이유라고 생각해봐도 좋다. 수업 혁신이 힘든 이유를 7가지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수업에 대한 관심이 생활지도나 행정 업무에 비해 낮다. 왜냐하면 학교가 수업 중심 구조가 아니라 행정 중심 구조이기 때문이다. 교사가 학교에서 인정받으려면 수업보다는 행정 업무 능력을 인정받아야 한다. 그러다 보니 교사가 수업보다는 행정 업무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둘째, 일단 형성된 개인의 교수 유형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교사로 임용되고 나서 교직 5년차 정도 시기에 수업 경험을 통해 나름대로 교사 개인의 교수 유형이 결정된다. 일단 형성된 교수 유형은 특별한 계기가 없으면 .. 2012. 5. 21.
한국형 수업혁신 모델의 방향은 무엇인가? 한국형 수업 혁신 모델은 어떠해야 하는가? 상당히 어려운 질문이지만 매우 중요한 질문이다. 한국형 수업 혁신 모델의 철학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공통 분모를 찾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다. 예컨대, 교사 중심, 지식 중심에서 학생 중심, 경험 중심으로 전환하고 경쟁학습에서 협력학습으로 전환하자는 것에 대하여 비판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각론 수준에서의 한국형 수업 혁신 모델을 제시하라고 하면 그리 쉽게 답변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한국형 수업 혁신 모델을 고민하는 데 있어서 몇 가지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한 수업 혁신 모델을 통해서 모든 수업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인 것처럼 주장하고자 하려는 유혹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지금까지 .. 2012. 3. 21.
수업 혁신의 단계 수업 혁신 모델을 고민하는데 있어서 핵심은 수업 모형이라기보다는 교사의 역량이다. 교사가 자기 수업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교사의 수업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좋은 열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수업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들은 기본적으로 자기 수업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편이다. 객관적으로 수업을 잘 못하는 교사라 할지라도 교사 자신은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부심이 높은 편이다. 새내기 교사 시절(초임-5년차 내외)에 교사들은 자기 수업에 대한 스타일이 어느 정도 형성되고 결정된다. 이렇게 형성된 교수 스타일은 교직 생활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기에 좋은 교수 습관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좋은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나쁜 교수 .. 2012. 3. 21.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수업 및 학교혁신의 이해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혁신(P)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현섭 김 2012.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