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교혁신

현행 학교컨설팅장학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으로서 스쿨 코칭

by 김현섭 2012. 5. 25.

어제 한국교육개발원 주관 교육청 학교컨설팅 개선 방향 워크샵을 다녀왔어요. 현행 교육청 학교컨설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어요. 토론자로 참여하면서 몇 가지 문제점과 대안들을 제시해 보았어요.

첫째, 학교컨설팅장학이라는 표현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장학은 장학기관이 정답을 제시하고 단위학교가 정답 기준에 맞게 고치는 것을 의미하고, 컨설팅은 위뢰 학교가 중심이 되어 컨설던트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서로 상이한 개념을 동시에 사용하다보니 장학도, 컨설팅도 아닌 이상한 것이 되어 버렸다는 것입니다.

둘째, 컨설팅이란 용어를 기업에서 받아들였지만 컨설팅 시스템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름만 컨설팅이지 실제로는 장학이었다는 것입니다. 컨설팅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컨설팅에 맞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셋째, 현재 컨설팅 장학의 문제점은 형식은 있으나 내용과 효과가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일부 컨설팅장학 요원들이 전문성이 떨어지고, 일종의 스펙 관리 차원에서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인적 차원에서의 질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넷째, 단위학교에서 컨설팅장학에 대한 인식도 문제가 있습니다. 받기 싫어도 어쩔 수없이 해야 하는 것 정도 생각하여 학교 차원에서 부산을 떨어가며 준비하는 일종의 통과의례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니면 가벼운 자문정도로 여기고 컨설팅장학 결과를 대충 보고 지나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섯째, 학교컨설팅장학지원단에 대한 지원책이 미비하다는 것입니다. 유능한 컨설팅작학요원들은 대부분 학교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들인데, 다른 학교를 돕는다고 외부로 나가는 것 자체를 학교관리자들이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좋은 일을 해도 학교관리자 눈치를 보면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학교컨설팅장학에 대한 대안들을 몇가지 제시했어요.

첫째, 컨설팅과 장학의 개념을 분리하자는 것입니다. 장학은 문제가 있는 학교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것이고 교육청에서 당연히 해야 할 기능이라는 것입니다. 컨설팅은 단위학교가 더욱 발전하기 위한 방안이기 때문에 이에 맞는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둘째, 장학은 관 주도형으로 풀고, 컨설팅은 민간 주도형으로 풀자는 것입니다. 교육청에서 직접 장학을 실시하고, 컨설팅은 교육청에서 직접 하는 방식보다는 민간 차원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학교컨설팅비용을 컨설팅 기관에 직접 주는 방식이 아니라 컨설팅을 희망하는 단위학교에 학교컨설팅 비용을 주자는 것입니다. 컨설팅비를 1/n방식으로 나누어 주지 말고, 꼭 필요한 학교에 심사를 해서 제대로 지원하자는 것입니다.

셋째, 현재의 학교컨설팅 기관을 정리해야 합니다. 현재 서울의 경우, 혁신학교 컨설팅은 교육청에서, 학교컨설팅지원단은 서울교육연구정보원에서, 교과교실제 지원은 한국교육개발원 교과교실제 지원센터에서, 창의인성교육 시범학교는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실시하고 있습니다. 학교컨설팅 관련 기관들이 분산되어 많은 예산을 사용하면서 실질적인 효과는 그리 높지 않다는 것입니다. 장학은 교육청에서 하지만 컨설팅은 단일기관(예를 들어 서울시교육정보원 등)으로 통합하여 운영해보자는 것입니다. 그리고 민간 단위의 학교컨설팅 기관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컨설팅 비용을 현실화하자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정책적 결단이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넷째, 학교컨설팅을 넘어 스쿨 코칭의 개념을 도입하자는 것입니다. 스쿨 코칭이란 단위학교가 혁신의지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참여해서 자기 학교문화를 객관적으로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점을 인식하고 학교구성원 스스로가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돕자는 것입니다. 장학은 장학기관에서 정답을 제시하는 것이고, 컨설팅은 단위학교가 정답을 요구하면 컨설던트가 정답을 주는 것이고, 스쿨 코칭은 단위학교가 스스로 문제점을 인식하고 정답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돕자는 것입니다.

다섯째, 민간단위의 스쿨코칭 시스템을 구축하자는 것입니다. 민간 전문가들이 운영의 주체가 되어 운영하고 연구자, 현장 교사, 행정경험이 풍부한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이미 교육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전문가들을 스카우트해서 시작하고 그 사람들을 중심으로 스쿨 코칭 컨텐츠를 개발하고 경험을 축적하여 대안을 마련하고 점차 스쿨코치를 양성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이 현장 교사, 장학사, 교감, 대학교수일 때는 파견 근무 형태로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기존 수석교사나 학습연구년 교사들도 스쿨 코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고 잘 연결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관에서 모든 것을 하려는 시도를 버리고 할 수 있는 일이나 꼭 해야만 하는 일에 집중하고 나머지는 과감하게 민간에 이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