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활용 수업5 AIDT 활용 수업과 AI 교육생태계 구축 방안 AIDT 정책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 문제소위 디지털 혁명, 인공지능 시대로 넘어오게 되면서 디지털 및 인공지능을 교육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흐름은 시대적, 사회적 요구라고 할 수 있다. 현 정부에서는 주요 교육정책으로 AIDT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하지만 야당과 여러 교원단체들은 현 정부의 AIDT 정책의 문제점을 비판하면서 AIDT 정책 방향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작년 11월 28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AIDT를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사용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올리자 바로 다음날 교육부에서 적용 대상에서 국어과를 제외하고 사회과와 과학과 도입 시기를 1년 늦추는 수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작년 12월 26일 초중등 교육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으나, .. 2025. 3. 6. AI 활용 진로탐색 보고서 작성 요령(마이베스트) AI 활용 진로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과제탐구 활동을 진행하는 것이다. 대개 자기가 관심있는 직업 분야를 정하여 탐구보고서를 작성하여 발표하는 경우가 많은데, 학생이 자기 꿈이 없거나 꿈이 있다 하더라도 세부적인 지식과 경험이 없는 경우, 높은 수준의 진로탐색 보고서를 작성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AI 활용 진로탐색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글쓰기 플랫폼인 마이베스트(mybestedu.ai)가 있다.마이베스트를 활용하여 진로탐색 보고서를 작성하는 요령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https://youtu.be/i0_Od3cCL1U 진로탐색 과제탐구 보고서를 토대로 창업창직을 위한 발명 플랫폼을 활용하여 좀 더 발전시켜나갈 수 있.. 2025. 3. 3. AI 활용 수업을 위한 도구 모음 교사들이 교실에서 적용하기에 도움이 될만한 AI 활용 수업을 위한 플랫폼, 교육용 앱 등을 정리해 보았습니다.[온라인 학습플랫폼]*구글 클래스룸 : https://edu.google.com/intl/ALL_kr/workspace-for-education/products/classroom/ 클래스룸 관리 도구 및 리소스 - Google for Education교사가 학급을 관리하고 학습 환경을 보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도구 및 리소스를 한곳에 모아둔 Google 클래스룸을 시작하세요.edu.google.com *띵꺼벨 : https://www.tkbell.co.kr/ ThinkerBell우리반을 바꾸는 수업요정. 띵커벨 퀴즈, 토론, 보드, 워크시트로 오늘도 신나게! 온라인 협업 활동을 경험해 보.. 2025. 2. 10. "AI야, 학교랑 놀자~"(디지털 및 인공지능 교육과정-수업 연수) 최근 디지털 및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높습니다. 교육부는 AIDT 정책(인공지능 활용 디지털교과서)을 추진하고 있고, 이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수업디자인연구소에서는 디지털 및 인공지능 교육과 관련하여 학교 차원에서 학교자율시간 과목으로 구성하고자 하거나 인공지능 활용 수업을 교실에서 실천할 때 어떻게 수업디자인을 하면 좋을 지에 대하여 고민하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디지털 및 인공지능 기반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에 관심있는 선생님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1. 일시 ∎ 2025년 2월 8일(토) 10:00-16:30 2. 장소∎ 교육디자인네트워크 광화문 세미나실(미도파빌딩 411호/ 5호선 광화문역 8번 출구) 3. 대상 ∎ 초중고 교사 24명 선착순 4. 강사∎ 김현섭(수업.. 2024. 12. 2. AIDT는 신박한 만능도구인가? 잘못 끼워진 첫 단추일까? AIDT? 최근 교육계에서 AIDT란 새로운 신조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AIDT(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Textbook)란 ‘AI 디지털 교과서’의 영어 약칭으로서 ‘학생 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맞춤형 학습기회를 지원하고자 인공지능을 포함한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습자료 및 학습지원 등을 탑재한 교과서(소프트웨어)’를 말한다.교육부에서는 2025년부터 초등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에 처음 적용하여 운영하고 후에 단계적으로 확산할 예정이다. 과목은 수학, 영어, 정보, 국어(특수교육)를 우선 도입하고, 이후 국어, 사회, 과학 등 전과목 도입을 목표로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다만, 발달단계와 과목특성을 고.. 2024. 11.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