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디자인연구소 및 교육디자인넷 이야기

"깊이있는 수업" 단행본 출간!!!

by 김현섭 2025. 4. 9.

깊이 있는 수업을 위한 교실 길라잡이

질문하고, 탐구하고, 몰입하고, 표현하고, 문제를 해결하라!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2015)’의 후속편!

깊이 있는 수업을 교실에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질문 기반 수업 디자인, 연역적 수업설계와 귀납적 수업설계를 통합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 집단 지성을 세우는 협동학습, 융합적으로 질문하고 생각하고 표현하는 융합 독서수업, 학생 주도성을 세우는 코칭 기반 수업, 창의적 사고 역량을 기르는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 디지털 소양을 기르는 인공지능 활용 수업, 성장 중심 평가를 위한 논서술형 평가 등을 통해 깊이 있는 수업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다룬 책입니다.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에서부터 논서술형 평가에 이르기까지 미래형 수업 담론을 총정리했습니다. 깊이 있는 수업을 고민하는 모든 분들에게 적극 추천합니다!

 

[책 내용 간단 소개]

미래 교육 차원에서 학생 주도성과 변혁적 역량을 강조하지만, 정작 학생들의 역량은 예전에 비해 줄어들고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걱정한다. 학생들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어야 한다. 교실에서 깊이 있는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깊이 있는 수업이란 깊이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수업을 말한다. 깊이 있는 학습은 활동 중심 학습보다는 높은 수준의 사고와 심층 학습을 추구하는 학습을 말한다. 삶과 연계한 학습, 교과 간 연계와 통합, 학습과정에 대한 성찰을 통해서 깊이있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깊이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려면 교사의 깊이 있는 사고를 기반으로 수업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깊이 있는 학습이 가능한 방식으로 교수 활동이 전개되어야 한다. 깊이있는 수업은 수업 과정(process)에 따라 정리하면 질문하고, 탐구하고, 몰입하고, 표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수업이다. 깊이있는 수업 전략 중에서 질문 기반 수업 디자인, 개념 기반 탐구학습, 협동학습, 융합 독서수업(독서, 글쓰기 및 토의토론 수업),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 코칭 기반 수업, 인공지능 활용 수업, 논서술형 평가 등이 있다.

이 책은 깊이 있는 수업 담론들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각 담론들의 특징과 방법, 유의사항 등이 잘 정리되어 있다. 교실에서 깊이있는 학습을 구현하기 위한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길잡이가 되리라 생각한다.

 

 

[저자 소개]

김 현 섭

교사들의 수업 성장과 미래 학교 운동을 통해 교육 혁신을 꿈꾸고 있습니다. 각종 교사 연수 강사, 수업코치, 학교컨설던트, 프로젝트 연구자 등으로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현재 수업디자인연구소 소장, () 교육디자인네트워크 대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 “에듀코칭”, “미래를 여는 온오프라인수업”, “관계수업”, “협동학습”, “수업 성장”, “철학이 살아있는 수업기술”, “욕구코칭”, “학교, 미래교육을 디자인하다”, “미래형 교육과정을 디자인하다등이 있습니다. 연구물로는 초등 사회과 검정교과서 대표집필자(비상), “충북 초중고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모델 연구”, “대전 및 세종 혁신학교 평가 지표 개발 연구”, “전북 중학교 학교교과목 개발 실행 연구”, “인천 및 광명 중학교 진로연계 수업자료집개발 등이 있습니다.

 

E-mail : eduhope88@hanmail.net

Blog : eduhope88.tistory.com (김현섭의 교육이야기)

Homepage : www.sooupjump.org (수업디자인연구소)

 

[목차]

 

1. 왜 깊이 있는 수업인가?

 

2.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질문 기반 수업 디자인

 

3. 연역적 수업설계와 귀납적 수업설계를 통합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

 

4. 집단 지성을 세우는 협동학습

 

5. 융합적으로 질문하고 생각하고 표현하는 융합 독서수업

 

6. 학생 주도성을 세우는 코칭 기반 수업

 

7. 창의적 사고 역량을 기르는 교과 융합 프로젝트 수업

 

8. 디지털 소양을 기르는 인공지능 활용 수업

 

9. 성장 중심 평가를 위한 논서술형 평가

 

[추천사]

 

질문하고, 생각하고, 표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 미래(未來)를 개척할 수 있습니다. 지난 10여년 동안의 공교육을 정상화해 온 교육혁신의 여정은 이제 깊이를 향한 여정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제 학교 운영, 교실 수업, 학교 문화의 모든 면에서 깊이를 더해가야 합니다. 이 책이 깊이 있는 수업을 준비하는 선생님들께 좋은 길라잡이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조희연 (20-22대 서울시교육감)

 

깊이 있는 수업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책입니다. 학생 주도성과 창의적 사고 역량을 키우는 데 초점을 둔 이 책은, 질문 기반 수업부터 교과융합 프로젝트, 그리고 인공지능 활용 수업에 이르기까지 미래형 교육 담론을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높은 수준의 사고와 심층 학습을 지향하는 다양한 수업 전략과 방법론은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김대권(서울 영훈초등학교 교장,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겸임교수)

 

작년까지 교육과정 담당 장학사로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깊이있는 학습을 접하면서 깊이있는 수업을 통해 즐거운 배움이 일어나고, 교사들이 보람을 느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현장 교사들이 깊이있는 학습이 무엇이고, 어떻게 이를 실천해야 할지,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천적 길라잡이가 될만한 자료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 책이 저에겐 설레임으로 다가왔습니다.

-안은숙 (안산 대동초등학교 교감)

 

요즘은 불과 몇 개월만 지나도 낯선 교육정책 용어들에 둘러싸이게 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 모든 것은 결국 더 나은 수업을 위한 도구일 것인데, 이러한 개념들을 단순히 이해하는 것을 넘어,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일은 또 다른 도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은 저자의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수업을 만들기 위해 연구하고 실천해 온 전략을 총망라한 책입니다. 나만의 깊이 있는 수업을 만들어 가는 '()' 으로서 이 책을 추천합니다.

-현승호(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

 

미래 사회를 살아갈 다음 세대들에게 필요한 역량은 결코 저절로 길러지는 것이 아닙니다. 교실에서 의도적이고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합니다. 이 책은 깊이 있는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역량을 키우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서 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길러주기 위해 고민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안종복(사단법인 교육디자인네트워크 이사장)

 

인공지능(AI)이 일상화되어 가는 교육현장에 지식(정보)의 양으로 배움의 과정을 설계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지식의 본질, 핵심을 찾아가는 교육이 필요한 시대에 이 책을 통해 깊이 있는 학습으로 인도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을 만나 배움이 삶과 연결되는 학교 현장의 변화를 꿈꾸어 봅니다.

- 노규호 (수원 중앙기독중고등학교 교장)

 

[구입안내]

수업디자인연구소 쇼핑몰(저자 사인본 선착순 발송) : http://www.sooupjump.org/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086

예스24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4687163

알라딘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61833419

각종 인터넷 서점에서 절찬리에 보급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