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 기반 수업3

학교가 자기 울타리를 넘다 학교 밖에도...“학교에 어떻게 들어가야 할지 모르겠어요”“아이들을 만나려면 아이들이 있는 학교로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네요. 일부 선생님들은 저희들을 시간 강사 정도로만 대하는 것 같아 속상할 때가 있어요.”“선생님들과 대화하다 보면 교육과정 관련 용어가 낯설게 느껴지기도 해요. 예컨대, 자유학기제, 자유학년제, 연계자유학기제 등 비슷한 용어같기는 하지만 명확한 차이점을 잘 모르겠어요.” “작년까지 지역에 있는 어떤 학교와 학교 연계 사업을 잘 진행되었는데, 올해 담당 교사와 학교 관리자들이 많이 바뀌게 되고 나서부터는 학교 연계 사업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요.” 필자는 수업디자인연구소 활동을 하면서 학교 밖 사람들(마을활동가, 문화예술강사, 경제교육강사, 국가문화유산 강사.. 2024. 10. 27.
프로젝트 수업,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까? 왜 프로젝트 수업인가? 파커 파머(2013)는 현재 우리 교육 현실을 다음과 같이 비판한다. 1. 우리는 머리와 가슴을 분리한다. 그 결과 머리는 느끼는 방법을 모르고 가슴은 생각하는 방법을 모른다. 2. 우리는 사실과 느낌을 분리한다. 그 결과 생기없는 사실은 이 세상을 막연한 어떤 곳으로 만들고 무지한 느낌은 진리를 오늘의 느낌 수준으로 격하시킨다. 3. 우리는 이론과 실천을 분리한다. 그 결과 이론은 생활과 별반 관련이 없고 실천은 이해가 따르지 못한다. 4. 우리는 가르침과 배움을 분리한다. 그 결과 교사들은 발언만 할 뿐 들으려 하지 않고, 학생들은 듣기만 할 뿐 말하려 하지 않는다. 현재 우리 교육은 지식 및 학력 중심 수업 문화에서 가슴을 설레게 하는 수업, 느낌이 살아있는 수업, 이론과 실.. 2024. 3. 14.
미래형 수업의 4가지 담론 1. 온라인 수업 온라인 수업은 언제 어디서나 수업을 할 수 있고, 비대면 수업 방식으로서 학생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 그래서 코로나 상황에서도 수업을 가능하게 해준 접근이 온라인 수업이다. 온라인 수업은 지식과 이해를 추구하는 수업에서는 효과적인 수업이다. 하지만 온라인 수업은 적용, 분석, 종합, 평가 등의 고차원적 사고 방식을 위한 수업이 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현재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힘들다. 즉, 지식정보처리역량을 어느 정도 기를 수 있겠지만 자기관리 역량, 창의적사고 역량, 심미적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등을 기르기 힘들다. 최근 코로나 문제로 인하여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면서 몇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특히 교사는 실제 담임.. 2020.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