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학습49 폴딩 보드(접이식 모둠 양면 칠판) 출시~ 폴딩 보드 (접이식 모둠 양면칠판) 출시!!! “가볍고 보관하기 좋은 예쁜 모둠 칠판이 새로 나왔어요!” [특징]1. 기존 모둠 칠판에 비해 매우 가벼워요. (폼 재질)2. 접을 수 있어서 보관하기 좋아요. 그래서 일반 가방에 넣을 수 있어요.3. 양면 칠판으로 되어 있어서 개인 칠판, 모둠 칠판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어요.4. 특수 코팅 필름을 사용해서 잘 쓸 수 있고 잘 지워져요. ※사이즈 480×350mm (접으면 240×350mm) 구입하시고 하는 분은 아래를 클릭해 주세요~^^http://www.sooupjump.org/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036 2018. 12. 12. 일반 수업에서 모둠 활동을 해야 하나? 일반 수업에서 모둠 활동을 해야 하는가? 일제 학습은 교사 중심으로 흘러가다 보니 학생들이 학습에서 소외되기 쉽다. 교사의 설명에 잘 따라가는 학생들도 있겠지만 반대로 그렇지 않은 학생들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교사의 설명을 들을 때는 이해가 되지만 막상 자기가 직접 해보려고 하면 잘 안되는 경우가 많다. 일제 학습은 학생들을 구경꾼으로 전락시키기 쉽다. 교사의 설명식 수업에 학생들이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제한적이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경우 5분, 고학년의 경우 10분, 중학생의 경우 15분, 고교생도 20분을 넘기 힘들다. 일제 학습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둠 활동을 도입하는 것이 좋다. 모둠 활동을 하게 되면 모든 학생들이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그런데 교사가 모든 모둠을.. 2016. 11. 29. 미래 인재의 핵심 역량 '협업력'이 뜬다(조선일보 2016/10/31) 원문 기사 : http://naver.me/5AikOai6 2016. 11. 1. 원활한 학생 모둠 활동을 위한 9가지 관리 방법 교사 : “지금부터 모둠별로 토의해보도록 할께요.”학생 : “선생님, 학습지 중에서 무엇을 토의하라고 하는 것이죠?”교사 : “다시 말하면 오늘 토의 주제는 사형 제도 찬반 여부 문제입니다. 지금부터 10분 동안 자유롭게 토의하라는 것이예요.”학생 : “선생님, 얘가 자꾸 제 물건을 가지고 가서 돌려주지 않아요.”교사 : “누가 희민이 물건을 가져갔는데... 빨리 토의하라니까”학생 : “선생님, 모둠 토의 주제가 무엇이라고 했죠?”교사 : “아까 선생님이 토의 주제에 대하여 다시 이야기했잖니? 5모둠, 지금 뭐하니?” 최근 배움 중심 수업, 학생 참여 수업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많은 교사들이 모둠 활동을 수업에서 도입한다. 그런데 막상 모둠 활동을 해보면 생각보다 모둠 단위로 학습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2016. 10. 17. 기말 고사 이후 방학 전까지 수업을 알차게 진행하기 위한 10가지 방법 그냥 진도를 나갈까? 아니면 아이들이 원하는 영화나 볼까? “선생님, 시험도 마쳤으니 이제 놀아요~”기말 고사 이후 정상적으로 수업을 진행하기란 쉽지 않다. 주관식 채점 확인 작업 외에 수업 시간에 딱히 할 것이 마땅하지 않다. 그렇다고 교과서 진도를 나가기에도 애매한 경우가 많다. 진도를 나가려고 해도 방학 전까지 시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주제를 다루다가 중간에 마치는 느낌이 생긴다. 그렇다고 학생들이 요구하는 대로 마냥 놀 수도 없고, 막상 잘 노는 방법 또한 마땅하지 않다. 게다가 기말고사가 마쳐도 교사 입장에서는 학기말 업무 등이 있기 때문에 학생들처럼 그리 여유있는 시간은 아니다. 그래서 많은 교사들이 학생들이 원하는 오락 극영화를 틀어준다. 그런데 아이들이 원하는 오락 영화는 액션물 등이다.. 2016. 6. 23. 학생 자리 배치, 어떻게 해야 할까? 학기 초 첫 수업을 준비하면서 고민하는 것이 학생들의 자리 배치이다. 대개 학급 담임 교사가 키순이나 번호순으로 앉도록 한다. 이 두 가지 방법은 학기 초에 임시로 자리를 앉도록 할 때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무난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는 담임 교사가 학급경영 및 생활지도와 교과 수업을 동시에 하고 둘 중에서도 학급 경영이 더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자리 배치도 이러한 측면에서 중점을 두고 앉도록 하면 된다. 하지만 중고등학교의 경우, 학급 담임 교사와 교과 담당 교사가 다르기 때문에 자리 배치에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대개 학급 담임 교사가 지정한 자리대로 교과 담당 교사도 그대로 자리를 인정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학급 담임 교사마다 철학과 기준이 다르기 때문.. 2016. 3. 3. 협동학습과 협력학습의 차이점은? 협동학습과 협력학습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국협동학습센터의 김현섭입니다.선생님이 질문하셨던 내용에 대하여 간단히 답변을 드립니다.최근 우리나라에서 협동학습과 협력학습의 용어상 혼동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한 이유와 차이점 등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 역사적인 배경과 흐름 미국에서 원래 협동학습은 사회심리학적 성과를 교육학에 적용한 것이었습니다. 사회심리학을 바탕으로 협동학습이 발전하면서 1960년대 개별학습에 기반을 둔 열린교육 운동에 비판하였습니다. 특히 1970-80년대 존슨 형제들, 슬래빈, 케이건 등을 중심으로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초반 열린교육 운동이 전개되면서 열린 교육의 한 가.. 2014. 12. 18. 2015 협동학습 겨울 연수 개최 안내 한국협동학습연구회가 주관하는 협동학습 세미나가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협동학습에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신청을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http://cooper.or.kr/training.php 2014. 11. 12. 교바사 인터뷰 기사 교육을 찾는 사람들이 인터뷰 기사에 제 이야기가 실렸어요. 여기에 기사문을 올립니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떤 목표를 이루려고 노력해 본 적 있으시죠? 그리고 그런 모임에서 주변 사람 신경 안 쓰고 성공을 위해서만 질주하는 사람, 대충 시간만 때우고 남이 만든 성과에 슬쩍 올라타는 사람, 또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모임 자체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사람 꼭 한 번쯤 마주치지 않으셨나요? 아이들이 생활하는 교실에서도 예나 지금이나 그런 일들은 흔히 일어납니다.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일제수업의 한계를 넘고자 여러 수업 방법이 개발되고 실천되는 가운데, 어찌 보면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모둠’을 지어 학습하는 형태이다 보니 더 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모둠 학습의 단점을 보완하.. 2014. 9. 25.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