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혁신

학기초 모둠 구성시 활용하면 좋은 7가지 모둠세우기 활동(Team-Building)

by 김현섭 2025. 3. 4.

교실에서 협동학습을 실천하려면 모둠 구성을 하고나서 바로 수업 활동으로 들어가면 모둠 활동이 원만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친하지 않은 학생들끼리 모둠 구성 후 바로 수업 활동으로 들어가면 서먹서먹하여 눈치만 보다가 대충 모둠 활동을 마무리할 수 있다. 모둠 구성 후에는 반드시 모둠 세우기 활동이 필요하다.

모둠 세우기 활동은 이질적인 학생들에게 자기가 속한 모둠에 대한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는 활동이다. 모둠 세우기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협동하려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모둠 세우기 활동으로는 창문열기를 통한 모둠 이름 만들기, 모둠 팻말이나 구호 만들기, 꼬마출석부 활동, 3단계 인터뷰를 통한 소개 활동, 질문카드를 통한 소개 활동(포토 스탠딩) 등 대화 활동과 풍선 치기, 협동의자 게임 등의 신체적인 게임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이 있다. 학기초에 교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7가지 모둠 세우기 활동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꼬마출석부

교사가 학생들에게 작은 카드를 나누어 준다.

교사가 다음 사례 등의 여러 가지 질문을 제시하면 학생들이 각자 카드에 답을 기록한다. 문항 질문 사례) 이름, 출석 번호, 나를 비유할 수 있는 사물이나 동물, 좋아하는 음식, 내가 잘 하는 것과 못 하는 것, 나를 표현할 수 있는 형용사 3가지, 최근에 경험한 일 중에서 기억에 남는 일, 전화번호, 메일 주소, 부모님 연락처 등

꼬마출석부 내용을 통해 모둠이나 학급 전체에서 자기를 소개한다.

교사가 꼬마출석부를 수거하여 이를 철하거나 묶어서 학생 호명 시 활용한다.

교사가 꼬마출석부 내용을 말하면 다른 학생들이 꼬마출석부 내용의 주인공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한다.(나는 누구인가 활동)

 

∎ 3단계 인터뷰

각자 꼬마출석부를 작성한다.

모둠 안에서 2명씩 짝을 짓고, 꼬마출석부 내용을 통해 번갈아 소개한다.

모둠 안에서 짝꿍에게 들은 이야기를 통해 짝꿍인 것처럼 대신하여 1인칭으로 자기 소개를 돌아가며 이야기한다.

3단계 인터뷰 활동(뤼튼 생성 이미지)

 

∎ 하얀 거짓말 찾기

교사가 하얀 거짓말 찾기 활동에 대하여 소개한다.

학생들이 각자 자기에 대한 진실 2가지와 거짓말 1가지를 기록한다.

) 나는 혈역행이 A형이다. 나는 남동생이 1명 있다. 나는 수학 우수상을 받은 적이 있다 등

모둠 안에서 한 학생이 자기가 만든 3개 문장을 보여주면서 이야기한다.

나머지 모둠원들이 3가지 문장 중 거짓말을 찾아 거짓말에 해당되는 번호를 손가락으로 표시한다.

하얀 거짓말을 한 학생이 나머지 모둠원들에게 정답을 말하고 이를 통해 자기 소개를 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돌아가며 말한다.

하얀 거짓말 찾기 활동

 

∎매직 넘버 게임

교사가 무작위로 숫자를 외친다. (“하나, , (숫자)!”)

모둠원들이 주먹을 쥐고 모둠원들 앞으로 내어 모으고, 교사의 외침에 따라 모둠원들이 무작위로 손가락을 편다.

교사가 외친 숫자와 모둠원들이 편 손가락 개수의 합이 일치되면 해당 모둠에서 와우라고 외친다. 이 경우, 모둠 토큰 등을 통해 간단하게 보상한다.

 

∎ 텔레파시 게임

교사가 주제를 제시한다.

) 1-10사이의 숫자, 나라 이름, 수도 이름, 과일, 학용품, 우리반 학생 이름 등

모둠별로 상의하여 주제별 세부명을 예상하고 이를 모둠칠판에 기록하여 올린다.

교사가 사전에 작성한 해당 주제에 대한 정답을 보여준다.

) 1-10사이의 숫자(7), 나라 이름(우크라이나), 수도 이름(워싱턴), 과일(복숭아), 학용품(노트), 우리반 학생 이름(이민석)

정답을 맞힌 모둠에세 간단 보상을 한다.

텔레파시 게임(뤼튼 생성 이미지)

 

∎ 풍선치기

교사가 풍선 치기 규칙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법 1 : 각자가 1분 동안 자기 자리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풍선을 30cm이상 연속하여 치기

·방법 2: 자기 자리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서로 풍선을 패스하면서 1분 동안 치기

·방법 3 : 손가락 하나로 서로 풍선을 패스하면서 1분 동안 치기

·방법 4 : 모둠원들끼리 하나의 원 형태로 서로 손잡고 풍선을 30초 이상 치기

· 풍선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모둠원들의 엉덩이가 자기 의자에서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실패한 경우, 풍선을 모둠 책상 위에 올려놓도록 한다.

교사가 제시한 규칙과 방법에 따라 개인별 내지 모둠별로 풍선을 친다.

풍선치기 활동에 성공한 개인이나 모둠에게 모둠 토큰을 부여한다.

풍선치기 활동(고병관)

 

∎ 협동 의자 게임

교사가 교실 앞에 모둠원 숫자만큼 개별 의자를 준비한다.

교사의 지시에 따라 모둠별로 학생들이 나와서 의자에 앉는다.

교사가 단계별로 의자를 하나씩 빼내면 남은 의자 위에 모둠원이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의자 한 개에 모둠원 전체가 다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최종 미션에 성공한 경우 모둠 보상을 실시한다.

협동의자게임(뤼튼 생성 이미지)

 

[참고문헌]

김현섭 외(2012), "협동학습1", 한국협동학습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