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에서 협동학습을 실천하려면 모둠 구성을 하고나서 바로 수업 활동으로 들어가면 모둠 활동이 원만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친하지 않은 학생들끼리 모둠 구성 후 바로 수업 활동으로 들어가면 서먹서먹하여 눈치만 보다가 대충 모둠 활동을 마무리할 수 있다. 모둠 구성 후에는 반드시 모둠 세우기 활동이 필요하다.
모둠 세우기 활동은 이질적인 학생들에게 자기가 속한 모둠에 대한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는 활동이다. 모둠 세우기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협동하려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모둠 세우기 활동으로는 창문열기를 통한 모둠 이름 만들기, 모둠 팻말이나 구호 만들기, 꼬마출석부 활동, 3단계 인터뷰를 통한 소개 활동, 질문카드를 통한 소개 활동(포토 스탠딩) 등 대화 활동과 풍선 치기, 협동의자 게임 등의 신체적인 게임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이 있다. 학기초에 교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7가지 모둠 세우기 활동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꼬마출석부
① 교사가 학생들에게 작은 카드를 나누어 준다.
② 교사가 다음 사례 등의 여러 가지 질문을 제시하면 학생들이 각자 카드에 답을 기록한다. 문항 질문 사례) 이름, 출석 번호, 나를 비유할 수 있는 사물이나 동물, 좋아하는 음식, 내가 잘 하는 것과 못 하는 것, 나를 표현할 수 있는 형용사 3가지, 최근에 경험한 일 중에서 기억에 남는 일, 전화번호, 메일 주소, 부모님 연락처 등
③ 꼬마출석부 내용을 통해 모둠이나 학급 전체에서 자기를 소개한다.
※교사가 꼬마출석부를 수거하여 이를 철하거나 묶어서 학생 호명 시 활용한다.
※교사가 꼬마출석부 내용을 말하면 다른 학생들이 꼬마출석부 내용의 주인공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한다.(나는 누구인가 활동)
∎ 3단계 인터뷰
① 각자 꼬마출석부를 작성한다.
② 모둠 안에서 2명씩 짝을 짓고, 꼬마출석부 내용을 통해 번갈아 소개한다.
③ 모둠 안에서 짝꿍에게 들은 이야기를 통해 짝꿍인 것처럼 대신하여 1인칭으로 자기 소개를 돌아가며 이야기한다.

∎ 하얀 거짓말 찾기
① 교사가 하얀 거짓말 찾기 활동에 대하여 소개한다.
② 학생들이 각자 자기에 대한 진실 2가지와 거짓말 1가지를 기록한다.
예) 나는 혈역행이 A형이다. 나는 남동생이 1명 있다. 나는 수학 우수상을 받은 적이 있다 등
③ 모둠 안에서 한 학생이 자기가 만든 3개 문장을 보여주면서 이야기한다.
④ 나머지 모둠원들이 3가지 문장 중 거짓말을 찾아 거짓말에 해당되는 번호를 손가락으로 표시한다.
⑤ 하얀 거짓말을 한 학생이 나머지 모둠원들에게 정답을 말하고 이를 통해 자기 소개를 한다.
⑥ 위와 같은 방식으로 돌아가며 말한다.

∎매직 넘버 게임
① 교사가 무작위로 숫자를 외친다. (“하나, 둘, (숫자)!”)
② 모둠원들이 주먹을 쥐고 모둠원들 앞으로 내어 모으고, 교사의 외침에 따라 모둠원들이 무작위로 손가락을 편다.
③ 교사가 외친 숫자와 모둠원들이 편 손가락 개수의 합이 일치되면 해당 모둠에서 ‘와우’라고 외친다. 이 경우, 모둠 토큰 등을 통해 간단하게 보상한다.
∎ 텔레파시 게임
① 교사가 주제를 제시한다.
예) 1-10사이의 숫자, 나라 이름, 수도 이름, 과일, 학용품, 우리반 학생 이름 등
② 모둠별로 상의하여 주제별 세부명을 예상하고 이를 모둠칠판에 기록하여 올린다.
③ 교사가 사전에 작성한 해당 주제에 대한 정답을 보여준다.
예) 1-10사이의 숫자(7), 나라 이름(우크라이나), 수도 이름(워싱턴), 과일(복숭아), 학용품(노트), 우리반 학생 이름(이민석) 등
④ 정답을 맞힌 모둠에세 간단 보상을 한다.

∎ 풍선치기
① 교사가 풍선 치기 규칙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법 1 : 각자가 1분 동안 자기 자리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풍선을 30cm이상 연속하여 치기
·방법 2: 자기 자리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서로 풍선을 패스하면서 1분 동안 치기
·방법 3 : 손가락 하나로 서로 풍선을 패스하면서 1분 동안 치기
·방법 4 : 모둠원들끼리 하나의 원 형태로 서로 손잡고 풍선을 30초 이상 치기
· 풍선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모둠원들의 엉덩이가 자기 의자에서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실패한 경우, 풍선을 모둠 책상 위에 올려놓도록 한다.
② 교사가 제시한 규칙과 방법에 따라 개인별 내지 모둠별로 풍선을 친다.
③ 풍선치기 활동에 성공한 개인이나 모둠에게 모둠 토큰을 부여한다.

∎ 협동 의자 게임
① 교사가 교실 앞에 모둠원 숫자만큼 개별 의자를 준비한다.
② 교사의 지시에 따라 모둠별로 학생들이 나와서 의자에 앉는다.
③ 교사가 단계별로 의자를 하나씩 빼내면 남은 의자 위에 모둠원이 앉을 수 있도록 한다.
④ 최종적으로 의자 한 개에 모둠원 전체가 다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최종 미션에 성공한 경우 모둠 보상을 실시한다.

[참고문헌]
김현섭 외(2012), "협동학습1", 한국협동학습센터
'수업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DT 활용 수업과 AI 교육생태계 구축 방안 (0) | 2025.03.06 |
---|---|
학기초 전체 학생들이 서로 소개하는 5가지 방법! (0) | 2025.03.04 |
AI 활용 진로탐색 보고서 작성 요령(마이베스트) (0) | 2025.03.03 |
AI 활용 수업을 위한 도구 모음 (0) | 2025.02.10 |
AIDT 활용 수업모델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