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혁신

수업코칭의 핵심기술(1) : "칭찬하기"

by 김현섭 2025. 3. 11.

수업코칭의 기술들

수업코칭의 기술은 칭찬하기, 질문하기, 경청하기, 공감하고 격려하기, 도전과제 탐색하기 및 실행하기, 피드백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수업자의 강점을 강화하는 기술은 칭찬하기, 격려하기 등이라면, 수업자의 약점을 보완하는 기술은 질문하기, 도전과제 탐색하고 실행하기, 격려하기, 피드백하기 등이다.

 

수업코칭에 있어서 칭찬하기의 의미와 중요성

수업코칭 활동에 있어서 첫 번째 기술은 칭찬하기이다. 수업코칭에서 칭찬하기가 중요한 이유는 단순히 수업자의 기분을 좋게 하는 행위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칭찬을 통해 수업자의 강점을 찾아 이를 강화할 수 있다. 예컨대, 수업자가 비주얼싱킹을 통해 학습단원을 잘 정리하였다면, 이에 대하여 칭찬하는 것이다. 수업자는 비주얼싱킹 수업을 자주 하는 행동이라서 자신의 강점이라고 잘 생각하지 못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칭찬하면 자기의 강점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자존감도 함께 올라갈 수 있다.

칭찬을 통해 수업자와 수업코치 간에 심리적 유대감(rapport)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의 호감과 신뢰심이 생길 수 있고, 깊은 마음 속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상대방의 발언이나 행동에 동요하거나 화를 내는 경향이 줄어들고, 서로를 더욱 존중하고 배려하며, 더 자주 도움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칭찬이란 상대방에 대하여 인정하고 존중하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말과 행동, 표정으로 진실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칭찬이란 기분 좋은 말, 관심을 보여주는 것, 인정해주는 것, 긍정적인 찾는 것, 높이 평가하는 것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칭찬의 방법은 딱 그 순간에 칭찬하고, 진심으로 칭찬하고, 구체적으로 칭찬하는 것이다. 결과 뿐 아니라 과정에 대한 칭찬을 해야 한다. 공개적으로 칭찬하고, 표정과 행동으로도 칭찬하고, 존재 자체에 대한 칭찬을 해야 한다.

 

수업코칭에서 피해야 할 칭찬하기 방법들

수업코칭 대화에서 먼저 피해야 할 칭찬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선천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칭찬하기

선생님의 외모가 뛰어나서 학생들이 좋아하겠네요.”

선생님은 타고난 장점이 많네요. 어쩜 유창하게 말씀을 잘하세요.”

 

단순하게 칭찬하기

선생님, 수업을 잘하시네요.”

말빨이 좋네요.”

 

결과에만 초점을 맞추어 칭찬하기

그렇게 아이들의 성적이 많이 올랐다니, 참 대단해요.”

수업시간에 보여준 영상이 인상적이었어요.”

 

과도한 칭찬

선생님은 평상시 수업에 대한 열정이 뛰어나고, 오늘 수업도 깔끔하게 진행하고, 학생들도 선생님을 많이 좋아하네요. 정말 훌륭한 선생님이라고 생각해요.”

 

형식적인 칭찬 및 획일적인 칭찬

오늘 공개수업을 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셨어요.”

수업을 잘 풀어가네요.”

수업에 대한 관심이 있으시네요

 

수업코칭이 좋은 칭찬하기 방법들

수업코칭 대화에서 필요한 칭찬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칭찬하기

수업 10분경 영철이가 장난을 치면서 수업 내용과 상관없는 이야기로 수업 분위기를 흔들었는데, 선생님께서 여기에 흔들리지 않고 좋은 질문으로 자연스럽게 다음 학습 내용으로 연결하는 것을 보았어요. 이러한 행동이 인상적이었어요. 학생 페이스에 말려들지 않고, 교사가 안정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어요.”

수업 시간 내내 잠자거나 떠드는 학생이 한 명도 없이 집중하는 것을 보았는데, 선생님께서 사용하는 학습 동기 유발 방법은 재미를 넘어 흥미 유발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을 디자인하여 운영한 것이 참 좋았습니다.”

 

결과만이 아니라 과정도 의미있게 칭찬하기(역지사지, 易地思之)

오늘 수업시간에 보여준 영상을 보니까 보건 선생님 특별 인터뷰도 포함되어 있네요. 기존 유튜브 영상을 다운받아 보여준 것이 아니라 오늘 수업을 위해 기획, 촬영, 편집한 영상으로 느껴졌어요. 영상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들었을텐데, 참 수고가 많으셨겠어요.”

오늘 선생님이 이야기할 때 학생들의 눈빛을 보았는데, 선생님의 이야기를 집중할 뿐 아니라 따뜻하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수업 20분경 선생님의 사소한 실수도 학생들이 오히려 좋은 반응으로 넘기는 것을 보았는데, 평상시 선생님과 학생들과의 관계가 매우 좋다는 것을 느꼈어요. 특히 지금 시기가 기말고사 이후라서 수업하기가 가장 힘든 시기인데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높은 집중도를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은 평상시 선생님께서 수업에 대한 고민과 실천을 꾸준히 실천한 결과라고 생각이 됩니다.”

 

교사의 교수유형에 맞게 칭찬하기

-생존의 욕구가 높은 교사 : 구체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담백하게 칭찬하기

-사랑의 욕구가 높은 교사 : 수업에 대한 공감과 격려를 하기, 표정과 행동으로도 칭찬하기, 관계 중심적으로 칭찬하기

-힘의 욕구가 높은 교사 : 성과를 중심으로 약간 과하게 칭찬하기, 중요한 존재라는 것을 부각하여 칭찬하기

-자유의 욕구가 높은 교사 : 칭찬도 부담스럽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기,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하고 칭찬하기, 과도한 칭찬을 피하기

-즐거움의 욕구가 높은 교사 : 감동과 감탄사에 있는 칭찬하기, 약간 과하게 칭찬하기

 

교사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고 칭찬하기

우리 선생님은 존재 자체만으로 우리 학교에서 힘이 되시는 선생님이세요. 수업 속 교사의 존재감으로도 아이들에게 큰 힘이 되는 선생님입니다.”

육아 휴직하다가 최근에 복직하셔서 학교 생활을 적응하는 것도 쉽지 않았을텐데, 공개수업을 자원하셔서 잘 진행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뤼튼 생성 이미지

[참고문헌]

김현섭 외(2021), “관계수업”, 수업디자인연구소

데일 카네기, 김병민 역(2012), “칭찬의 기술”, 해피앤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