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혁신208

수업코치의 자격 및 수업코칭시 유의해야 할 사항 1. 수업코치의 자격 수업 코치는 전문성, 관계성, 인격성을 갖출 수 있어야 한다. 외부의 전문가 경우에는 전문성이 더 중요하고 동료 교사의 경우에는 관계성이 더 중요하다. 인격성은 누구에게나 필요한 요소이다. ① 전문성 수업을 남들과 다르게 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성찰, 교육철학,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등 영역별로 접근할 때에 한 분야 이상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한 사람이 모든 영역을 전문가 수준으로 접근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한 사람보다는 전문성이 있는 사람이 팀을 구성하여 접근하는 것이 좋다. 수업 코칭의 핵심은 문제점 발견과 지적이 아니라 문제점의 현상 속에 감추어진 이유를 찾아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수업 코치가 문제점에 대한 원인과 그에 맞는 해결책을 알고 .. 2012. 8. 5.
수업코칭의 개념과 필요성 1. 왜 수업 코칭인가? 교사라면 누구나 수업을 잘하고 싶어한다. 교사의 업무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수업이다. 교사가 수업을 못한다는 것은 교사의 기본적인 자질이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교사라면 누구나 자기 수업을 잘하고 싶어하지만 생각보다 수업을 잘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수업은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로 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교사의 수업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업 공개와 교사 연수가 있다. 최근 교원평가제 실시와 배움의 공동체 운동 등을 통해 수업 공개에 대한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수업 공개 문화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첫째, 수업 공개를 위한 공개로 그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2012. 8. 5.
수업 성찰의 중요성 수업 혁신 모델을 고민하는데 있어서 핵심은 수업 모형이라기보다는 교사의 역량이다. 교사가 자기 수업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교사의 수업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제일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수업 성찰이다. 교사는 자기 수업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들은 기본적으로 자기 수업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편이다. 객관적으로 수업을 잘 못하는 교사라 할지라도 교사 자신은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부심이 높은 편이다. 새내기 교사 시절(초임-5년차 내외)에 교사들은 자기 수업에 대한 스타일이 어느 정도 형성되고 결정된다. 이렇게 형성된 교수 스타일은 교직 생활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기에 좋은 교수 습관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좋은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2012. 5. 21.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 그리고 변화 수업을 바라보는 여러 가지 관점들 수업의 질을 올리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이 무엇이냐에 대하여 먼저 고민해야 한다. 수업을 혁신하려면 다양한 수업을 많이 보는 것이 필요하다. 공개 수업을 많이 하거나 다른 교사들의 수업을 많이 본다고 해서 수업 혁신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수업을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동일한 수업도 다르게 평가되고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업을 바라보는 기존의 관점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교육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들에는 수업장학, 수업평가, 수업컨설팅, 수업비평, 배움의 공동체, 수업 코칭 등이 있다. 각 입장은 주된 관찰 목적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각 입장의 장단점을 잘 인식하고 교실 현장에서 활용하는 것.. 2012. 5. 21.
수업 혁신이 힘든 7가지 이유 학교 혁신 분야 중 가장 힘든 것이 수업 혁신이다. 수업 혁신이란 말이 부담스럽다면 교사가 왜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가에 대한 이유라고 생각해봐도 좋다. 수업 혁신이 힘든 이유를 7가지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수업에 대한 관심이 생활지도나 행정 업무에 비해 낮다. 왜냐하면 학교가 수업 중심 구조가 아니라 행정 중심 구조이기 때문이다. 교사가 학교에서 인정받으려면 수업보다는 행정 업무 능력을 인정받아야 한다. 그러다 보니 교사가 수업보다는 행정 업무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둘째, 일단 형성된 개인의 교수 유형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교사로 임용되고 나서 교직 5년차 정도 시기에 수업 경험을 통해 나름대로 교사 개인의 교수 유형이 결정된다. 일단 형성된 교수 유형은 특별한 계기가 없으면 .. 2012. 5. 21.
한국형 수업혁신 모델의 방향은 무엇인가? 한국형 수업 혁신 모델은 어떠해야 하는가? 상당히 어려운 질문이지만 매우 중요한 질문이다. 한국형 수업 혁신 모델의 철학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공통 분모를 찾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다. 예컨대, 교사 중심, 지식 중심에서 학생 중심, 경험 중심으로 전환하고 경쟁학습에서 협력학습으로 전환하자는 것에 대하여 비판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각론 수준에서의 한국형 수업 혁신 모델을 제시하라고 하면 그리 쉽게 답변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한국형 수업 혁신 모델을 고민하는 데 있어서 몇 가지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한 수업 혁신 모델을 통해서 모든 수업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인 것처럼 주장하고자 하려는 유혹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지금까지 .. 2012. 3. 21.
수업 혁신의 단계 수업 혁신 모델을 고민하는데 있어서 핵심은 수업 모형이라기보다는 교사의 역량이다. 교사가 자기 수업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교사의 수업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좋은 열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수업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들은 기본적으로 자기 수업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편이다. 객관적으로 수업을 잘 못하는 교사라 할지라도 교사 자신은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부심이 높은 편이다. 새내기 교사 시절(초임-5년차 내외)에 교사들은 자기 수업에 대한 스타일이 어느 정도 형성되고 결정된다. 이렇게 형성된 교수 스타일은 교직 생활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기에 좋은 교수 습관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좋은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나쁜 교수 .. 2012. 3. 21.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수업 및 학교혁신의 이해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혁신(P)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현섭 김 2012. 3. 21.
프로젝트 수업 장면 2012. 3. 20.